All Education News
Top stories summarized by our editor
7/2/2025
대학, 기업경력 교수 확대
전국 대학들이 대학생들의 취업과 창업을 돕기 위해 산업체 경력 전임 교원을 확대, 국·공립대학은 12.5%, 수도권대학은 7.0%의 높은 증가율을 보여 현장 전문가 활용이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교육협의회의 ‘2025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산업체 경력이 있는 전임교원은 지난해보다 5.0% 증가하고 산업체 수요를 접목해 운영하는 주문식 교육과정도 2023년 대비 2024년에 12.7%나 늘었다. In Japan, the outcome of the zero-sum competition for college admissions and the opportunity for “good” steady employment are so closely linked that they are essentially fused as the ultimate positional good. The resources the government is spending to make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 free for all regardless of household income would be better spent on efforts to minimize the impact of family background on educational achievement.
6/20/2025
세계 톱30 대학에 중국 4개, 한국 0개
영국 QS가 발표한 ‘2025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대학은 상위 100위에 3개 대학만 포함돼, 지난해 대비 2개 줄어들고 중국 10개, 일본은 4개 대학이 톱100에 자리했으며, 중국·홍콩·싱가포르 등 아시아 대학들이 상승세다. 미국 US 뉴스 & 월드 리포트가 발표한 세계대학평가에서 세종대학교가 국내 3위, 세계 238위를 기록, '국제 공동연구 비율'과 '인용 상위 논문 비율' 등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While Singapore continue to rise in influence and academic reputation, Korean universities are struggling to maintain their global standing, according to the 2025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released. Looking at the overall rankings, MIT ranked first, followed by Imperial College London, Stanford University, University of Oxford and Harvard.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was the highest-ranked Asian university, in eighth.
6/8/2025
‘역대급 사교육비’에도 실종된 입시 정책
지난해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이 30조에 육박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4세, 7세 고시’ 등이 현실화한 가운데 사교육비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경쟁교육 체제에 대한 대전환 노력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레아 벨스키 오픈AI 교육 부문 부사장은 "과거 대학이 이메일 계정을 제공했듯이 미래에는 모든 학생이 개인 AI 계정을 갖게 될 것"이라며 "AI가 고등 교육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The pressure to perform academically is no longer confined to high school; it starts before children can even read and steadily erodes their mental health. Korea now ranks 27th out of 36 OECD countries in child well-being, with alarmingly low scores in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 complete paradigm shift is needed. Education should nurture curiosity, not suppress it.
5/26/2025
중소도시·소규모 학급 학생, AI학습 흥미 낮아
시범 도입된 AI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초·중등 학생의 AI 기반 수업 흥미도가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 규모가 큰 학급보다는 작은 학급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 인지'에 이어 내면과 감정을 직시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강조한 ‘메타 필링’이 등장, AI 시대에는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하고 상처받은 마음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갖춘 사람이 대우받게 될거란 얘기다. The executive order claims that “AI education in kindergarten through K-12 is critical” because the U.S. needs “to develop an AI-ready work force and the next generation of American AI innovators.” If AI is carelessly incorporated all the way down to pre-K, it will be a horrible mistake. It could inhibit children’s critical thinking and literacy skills and damage their trust in the learning process and in one another.
5/12/2025
2028 내신 5등급제·학점제 도입, 누가 웃을까
2028학년도 대입 전형이 현 고1부터 적용되는 5등급제 내신 평가와 고교학점제는 경쟁이 완화된 것처럼 보이나, 실질적인 변별력 약화와 상위권 간 동점자 증가 등 다층적 불확실성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는 평가다. 교육부는 40개 의과대학이 제출한 유급 및 제적 대상자 현황을 공개, 의과대학 재학생 1만9475명 중 유급 예정 인원은 8305명, 제적 예정 인원 46명으로 대부분의 의대는 유급이 1년 단위라 2학기에도 상황이 개선될 가능성은 낮다. Trump’s illegal and autocratic actions are tantamount to a war on knowledge intended to force schools to bend the knee to his ideology and chill free speech and academic pursuit. When a government asserts control over what can be taught, thought or said, democracy itself is at risk. This war on knowledge and expression must be opposed in the courts, on the streets, and by our colleges and universities.
4/27/2025
대학 등록금, 올해 4년제 70%가 '줄인상'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26곳이 등록금을 인상하며 등록금 동결 기조에 금이 가기 시작했고 올해 4년제 일반대학과 교육대학 193곳 가운데 136곳인 (70.5%) 대다수 대학이 줄줄이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행정부의 각종 보조금 삭감은 존스홉킨스대의 연구·행정 인력 2200명의 해고 발표 등 미국의 기초·응용과학의 요람이자 인재 공급의 파이프라인 역할을 했던 대학의 연구 활동에 위협이 됐고 그 부작용은 현실화하고 있다. Dozens of Harvard University professors are pledging to take a temporary pay cut to support the school as it fights the Trump administration's move to freeze billions of dollars in federal funding. Mr. Trump renewed his recent threats to revoke Harvard’s tax-exempt status, even though federal law prevents the president from ordering the I.R.S. to conduct tax investigations.
4/27/2025
유아 사교육비 전수조사에 법적 규제?
이주호 교육부장관은 25일 국회 현안질의 답변에서 영유아 사교육 및 영어학원 부작용과 관련 "유아 사교육비는 조속히 조사돼서 발표돼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영유아 사교육 문제도 정말 심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강남 3구 거주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건강보험료 청구 건수는 최근 5년간 3배 넘게 증가, 진선미 의원은 "교육부는 영유아 사교육 실태 전수조사를 비롯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In South Korea, anxious parents enrol children as young as four in rigorous prep programs and have them sit for competitive kindergarten entrance exams. The results are burnt-out students and lost childhoods. Attempted policy reforms have merely shifted competition to earlier stages. To tackle the root of this issue, policymakers must confront the structural pressures that fuel the pervasive parental fear of their children falling behind.
4/12/2025
영유아 사교육, '7세 고시'에 '4세 고시'까지
‘사교육 공화국’이라는 오명의 한국이지만 최근에는 ‘7세 고시’에 이어 유명 영어유치원 입학을 위한 시험인 ‘4세 고시’라는 말까지 유행, 이른바 ‘초등 의대반’까지 나오는 상황 속 아이들의 ‘N세 고시’ 현상은 심화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전국 최초로 수립된 표준화된 영재 교육과정 모델로 '초등 영재 표준 교육과정'을 만들었고, 올해 안에 '중등 영재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인공지능 분야 영재교육원도 신설한다고 밝혔다. The education category of the CPI rose by 2.9%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marking the highest year-on-year increase in 16 years since a 4.8% surge in February 2009,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The difficulty of the entrance exam for 5 or 6-year-old children to enter a prime English academy is said to be at the 10th grade level, and some of the questions are as difficult as the Suneung, demanding analogical and logical thinking.
3/31/2025
영국 명문 사립 여학교 ‘위컴 애비’, 한국 섬으로
졸업생 93%가 글로벌 100위권 대학에 진학, 졸업생의 약 30%가 옥스퍼드대, 케임브리지대에 합격한 영국 사립 학교인 위컴 애비가 인천 영종도 국제학교 우협으로 선정되며, 이르면 2028년 하반기 개교가 유력하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SKY대학 자연계열 학과 115개 중 68개(59.1%)의 합격선이 전국 의대 최저 합격선보다 낮아지며, 자연계 최상위권 학생이 의대에 진학하는 경향이 더 강해졌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Eleven Democratic senators sent a letter demanding an investigation into the Trump administration’s efforts to dismantle the Education Department, warning the cuts could have “disastrous consequences.” Last week, Trump signed an executive order directing Education Secretary Linda McMahon to start winding down the department and the Education Department announced it was reducing its workforce by nearly 50%.
3/26/2025
이공계 대학생에 약 1조원 몰아준다
정부가 이공계 연구개발 촉진을 위해 매달 석사과정 최소 월 80만원, 박사과정 최소 월 110만원을 지원하는 학생인건비 사업에 9년간 9700억원을 투입, 올해는 29개 대학을 대상으로 5월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공계 대학원생의 학생인건비 확보·지급 책임을 연구책임자, 대학과 함께 분담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경제적 걱정 없이 학업에 몰입하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Trump said his administration will close the department beyond its “core necessities,” preserving its responsibilities for Title I funding for low-income schools, Pell grants and mone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President Becky Pringle said in a statement that Trump's effort to close the Education Department could have disastrous implications for students across the country.
3/14/2025
사교육비, 학생수 줄었는데 '역대최고'
교육부와 통계청의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를 실시한 결과, 1년 사이 학생 수는 521만명에서 513만명으로 8만명 줄었는데 지난해 초·중·고교생 사교육비가 29조원을 넘어서며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교육부의 '2024 유아 사교육비 시험조사' 결과에 따르면 영유아 사교육 참여율은 절반에 가까운 47.6%로 집계, 연령이 높을수록 참여율이 증가했고 유아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3만2000원이다. South Korea’s private education spending has once again reached an all-time high, totaling $20.1 billion last year. Despite a decline in student enrollment, the average amount spent per student, participation rate and study hours all increased, highlighting an intensifying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Officials attribute this sharp increase to the country’s growing obsession with medical school admissions.
2/23/2025
대학 경쟁력 강화, 인재 양성 투자해야
교육개발원의 조사에 따르면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투자는 40.1%가 인재 양성 역량 강화를 최우선 투자 과제로 꼽았고 이어 지방대 경쟁력 강화, 대학 연구 역량 강화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제1차 고등교육 재정 혁신 토론회'에서 남수경 강원대 교수는 고등교육 학생 1인당 공교육비를 OECD 국가 평균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정부가 50%를 부담 시, 내년에 약 7조 원의 추가 재원을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THE's World Reputation Rankings 2025 have been released, with Harvard University once again securing the number one position for the 14th consecutive year. The rankings are based on over 55,000 responses from academic experts worldwide, making it the largest invitation-only reputation survey in higher education. This year’s list has expanded to 300 universities, up from 200 in 2024, reflecting a broader global perspective.
2/14/2025
서울 한복판 초등학교도 폐교 고민
정부가 국가를 대표할만한 대형 융·복합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국가연구소' 사업을 본격 추진해 올해에만 4개, 향후 3년간 12개의 대학부설 연구소를 신설하고 연구소당 최대 1000억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우근 칭화대 교수는 "중국은 약하다고 판단하는 기술분야에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다”며 R&D를 고등교육단계부터 집중 투자하고 있고 칭와대만 해도 첨단기술 R&D 예산이 연간 7조원에 달할 정도라고 덧붙였다. With domestic student numbers dwindling, universities are shifting their focus to foreign students and adult learners to sustain enrollment and financial viability. Temple University Japan marks a new chapter with the grand opening of Temple University, Japan Campus Kyoto, further cementing Temple University’s role as a leader in fostering global education across Japan.
2/3/2025
서울 한복판 초등학교도 폐교 고민
올해 입학하는 전국 초등학교 학생은 32만7266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 학교 폐교 및 통폐합은 농어촌 지역의 문제로 여겨졌지만 최근 수도권 및 서울권에서도 학생 수가 급감하면서 폐교를 고민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고3 재학생은 45만 3812명으로 작년 대비 4만 7733명 증가했고 상위권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재수·반수 수요가 커지며 내년 N수생 규모를 20만 2762명으로 예상했다. Korean universities are increasingly pursuing mergers and introducing vocational programs to address the growing crisis of the country’s low birthrate and declining enrollment, two key issues that are putting additional financial pressure on thes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new students enrolling in Seoul's general high schools has decreased by 8% from last year, reflecting the impact of South Korea’s declining birthrate and shrinking school-age population.
1/18/2025
주요 대학, 등록금 인상 행렬
전국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학부 등록금을 동결해 온 이화여대도 17년 만에 학부 등록금을 전년 대비 3.1% 올리기로 결정했다. 국내 대학가에 미국처럼 우수 교수의 정년을 없애고 늘리는 등 교수 정년 연장 바람이 불며, 올해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가 안정성과 효율성이 높은 태양전지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정년이 아예 없는 종신 교수가 됐다. Acting President Choi demanded the National Assembly reconsider an opposition-led bill that seeks to extend government subsidies for free high school education, citing financial burdens it may place on the government. "The nation's financial situation is extremely strained. It is time to save taxpayers' money wherever possible and focus our fiscal resources on revitalizing the economy," Choi said while presiding over a Cabinet meeting.
1/6/2025
옥스포드의 올해의 단어, 음모론에 중독된 ‘뇌 썩음’
올해 본격 시행되는 지역 대학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중앙 정부가 일률적으로 계획을 세워 직접 대학에 재정을 집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그 권한의 50%를 지역 광역시·도에 이양하는 주요 고등교육 정책이 제대로 추진될 지 주목된다. 대학은 비전과 특성화 분야 등을 고려해 여러 개가 아닌 하나의 라이즈 계획을 수립하고, 교부받은 예산도 과제별 칸막이 없이 사용하며 총체적인 성과 창출을 도모한다.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is set to realize its long-held ambition of establishing a state-run graduate school dedicated to literary translation following the National Assembly's recent approval of a revised bill. With the revised act, the newly established graduate school will train and confer master’s degrees to 70 to 80 translators per year, creating a more structured and institutionalized framework for cultivating talent.
1/1/2025
옥스포드의 올해의 단어, 음모론에 중독된 ‘뇌 썩음’
옥스퍼드대학은 올해의 단어로 자극적인 숏 폼 콘텐츠를 과잉소비해 집중력 저하, 문해력 약화 등 지적 퇴화가 심각해지는 현상인 ‘뇌썩음’을 선정, '뇌썩음'은 ‘사실성’을 부정하고 사회적 합의 가능성을 외면해 민주주의를 위태롭게 한다. 202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다론 아제모을루 미국 MIT 경제학과 교수는 양극화를 누그러뜨리지 않으면 윤 대통령처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지도자가 한국에 다시 출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As neoliberalism collapses into authoritarianism, its machinery of repression intensifies. When democracy loses its moral and aspirational appeal, it opens the door for autocrats like Trump to dismantle the very institutions vital to preserving democratic life. Higher education must reassert itself as a crucial democratic public sphere that fosters critical thought, resists tyranny and nurtures the kind of informed citizens necessary to a just society.
12/16/2024
내년 도입 AI교과서 '빨간불'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정부에서 추진중인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는 야당이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어서 내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과목당 최소 20억 원의 자본과 전문 인력을 투입해 AI 교과서 개발에 나선 발행사들은 공교육 바탕으로 만들어져 사교육 시장에는 대체할 수도 없기 때문에 막대한 손실을 입을까 우려하고 있다. A medieval literature course next term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will lean heavily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to generate a single custom textbook, the university announced. The news has triggered skepticism from academics who questioned whether outsourcing the core functions of a course to AI will only cheapen the classroom experience and devalue human expertise.
12/9/2024
기말고사 취소한 서울대 교수
서울의 한 대학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된 지난 7일 "시험 대신 역사의 한 페이지를 지켜보자"며 지필고사 방식의 기말 시험을 취소, 특정한 주제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하는 방식으로 평가를 대체키로 한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그는 "보고서 작성 기한은 가능한 여유 있게 드릴 테니, 부디 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눈여겨보시고 우리 사회가 무엇을 배우지 못했고, 또한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고민해 보시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Education International expressed its full and unwavering solidarity with all teachers and education unionists in South Korea as they defend their democracy in the face of authoritarian actions by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Student and faculty groups in South Korea have condemned President Yoon Suk Yeol’s unsuccessful attempt to impose martial law and reiterated calls for his resignation.
11/21/2024
2024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미국 클래리베이트가 발표한 ‘2024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전 세계 39개 국가 1200개 이상의 기업에서 6636명의 연구자들이 이름을 올렸고 서울대 13명, 성균관대 9명, UNIST 7명, 한양대 6명, 고려대 세종대 각 5명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무부 교육·문화국과 국제교육연구소가 발간한 '오픈도어'에 따르면 2023∼2024학년도에 미국 대학에서 유학중인 인도 출신자는 전년도 대비 약 23% 증가한 33만1천602명으로 집계돼 약 4% 감소한 중국 출신자를 앞질렀다. Ryu Hong-lim, president of SNU, believes that the hallmark of a great school is the quality of its graduates. "Outstanding education and research produce excellent graduates, who, in turn, elevate the university’s reputation in a virtuous cycle." said Lee Jin-soo, SNU’s Deputy Vice President. Facing a steep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universities in Korea, particularly in provincial areas, are increasingly shutting down departments and majors due to difficulties in recruiting new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officials.
11/15/2024
본격 ‘입시 레이스’ 시작됐다
입시업계에 따르면 수능 이후 입시 전략의 핵심은 가채점을 통해 본인의 위치를 파악한 뒤 수시모집 대학별고사 응시 여부를 정하는 것으로 자신의 점수가 수시 지원 대학보다 상위에 있는 대학의 정시 지원 가능선에 있는지를 판단하면 된다고 말한다. EBS 현장교사단 소속 심주석 인천하늘고 교사는 "종합적 사고력이 필요한 문항들이 있어 일부 문항은 다소 까다롭게 느낄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작년 수능보다 확실히 쉽게 출제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strives to make a big leap as a bridgehead to globally promote the depth and appeal of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merely translate and publish works," LTI Korea President Chon Sooyoung said. LTI Korea announced three main objectives: stimulating global discourse on Korean literature, consolidating a global literature network and establishing a graduate school for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10/18/2024
2040년 비수도권 대학 충원율 27∼43%까지 하락
한국개발연구원의 '지역대학 구조적 전환과 발전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감소와 수도권 쏠림 현상 탓에 2040년 비수도권 대학은 학생이 선택하지 않는 대학으로 전락해 충원율이 30%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기지역 유치원·어린이집 관계자들이 "교육부의 유보통합 추진계획 발표에 이은 시범사업은 '영유아' 중심의 모형개발보다 보여주기식 사업으로 전락해 전국 모든 영유아교육기관 간 편차만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ruled that a high school's policy of collecting phones during school hours does not constitute a human rights violation, marking a sharp reversal of its previous stance stated in 2014. Some educators, like Cho Young-sun, a teacher at a high school in Seoul, question the ruling's consistency with modern educational trends, pointing out that smartphones and AI-based learning tools are being integrated into classrooms.
9/30/2024
5년간 1000억 지원 글로컬대학, 올해 수시 경쟁률
비수도권 대학에 대해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 10곳 중 8곳의 경쟁률이 6대 1 이하를 기록, 수험생 입장에서 글로컬 대학 지정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해석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과 칼리지펄스가 공동 집계한 2025년 미국 최고 대학에 따르면 졸업생 연봉 기대값이 가장 높은 대학 순위 1위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였고 2위는 스탠포드, 3위는 프린스턴이 차지했다. Despite recent criticisms of ranking systems, universities continue to pour millions of dollars into participating in the U.S. News and World Report rankings and hotly contest any dip in their results. Despite its flaws, the ranking system can lend valuable insights into the world of higher education and simplify the dense and complex landscape of college admissions. Korea University announced plans to globalize its campus, including introducing real-time translation features in classrooms and making it easier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access information.
9/8/2024
국내 외국인 유학생 첫 20만 돌파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기준 국내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학생 수는 총 20만8962명으로, 2016년 10만 돌파 후 코로나 팬데믹 때를 제외하면 꾸준히 상승해 2019년 16만165명, 2023년 18만1842명, 2024년 8년 만에 20만명대로 올라섰다. 각 시도교육청으로부터 확보한 ‘최근 5년간(2019~2023년) 초등 교원 중도 퇴직률 현황’에 따르면 ‘국·공·사립 초등학교 교원 현원’ 대비 ‘중도 퇴직 인원’은 2.16%로 2022년에 비해 0.45%포인트 상승해 최근 5년간 최고치다.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has gone up 15% this year, bringing the nation closer to the goal of becoming one of the top ten study destinations worldwide, as reported during a meeting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19 to 2023, a total of 32,704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left their positions. Resignation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rising from 5,937 in 2019 to 7,404 in 2023.
9/2/2024
부모 경제력이 대학 진학 75% 좌우
한국은행이 '입시경쟁 과열로 인한 사회문제와 대응방안' 보고서를 통해 입시 과열이 사교육 부담과 교육 기회 불평등 심화, 구조적 사회문제를 유발하고 있다며 입학 정원을 지역별 학령 인구 비율로 뽑는 '지역별 비례선발제'를 제안했다. 특히 보고서는 소득 20%와 하위 80% 간 상위권대 진학률 격차 중 75%는 '부모 경제력 효과' 결과로 분석했고 서울과 비서울 간 서울대 진학률 격차 92%는 '거주 지역 효과'에 기인한다고 추정했다. An analysis by the Bank of Korea found that around 25% of the disparity in top university admissions can be attributed to differing levels of academic potential while the rest was parental economic power. Real reform will require sustained public pressure on highly selective private universities to start valuing economic diversity as much as other forms of diversity. That will make a much bigger difference than ending legacy admissions ever could.
7/15/2024
‘무전공’ 입학 대학생, 다시 대입 치러도 무전공 선택
진학사가 ‘자율전공선택제’로 대학에 입학한 대학생 1~2학년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63%는 다시 대입을 치러도 무전공으로 지원할 정도로 만족스럽게 생각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빈센트 코엔 OECD 국가분석실장은 2024 한국경제보고서 기자회견에서 "노동시장 이중구조 탓에 스펙 쌓기 경쟁이 이뤄지고 있고 소위 말하는 골든 티켓을 추구하면서 사교육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A survey showed mixed interest in undeclared majors, even as the government pushes universities to introduce such programs for the 2025 application period. In a survey conducted by Uwayapply, 35.9 percent of 454 prospective university applicants said that the undeclared major was the topic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for the 2025 university admissions process.
7/8/2024
연대·한양대 수시에 수능최저기준 신설
2025학년도 수시 모집부터 서울 주요 대학 중 연세대와 한양대는 학교장 추천이 필요한 학교추천전형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신설, 전년도까지와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어 지원 전략 구상에 유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대학교육협의회가 실시한 ‘KCUE 대학총장 설문조사Ⅱ’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국 4년제 대학 총장들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이 3위로 전년 대비 7위에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A survey of 130 presidents by KCUE has shown that the recruitment of new international students was the third-highest priority for institutions, cited by 52.7% as a priority compared with 35.5% in the previous year’s survey. In terms of priorities to achieve this, KCUE said that institutions want to see improved systems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from the government and more financial support for international scholarships.
6/23/2024
대학 9곳에 첨단 연구개발 장비 구축
교육부가 세계 수준의 연구개발을 위해 첨단 연구장비 구축과 관리·운영 비용을 지원하는 '인프라 고도화' 사업에 서울대, 한양대, 전북대, 포스텍, 성균관대 등 9개 대학 10개 과제를 선정, 5년간 총 734억 원을 지원한다. 영국 고등교육 평가기관 QS의 '2025 QS 세계대학순위'에 따르면 서울대는 31위로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고 카이스트, 연세대, 고려대, 포항공대 등 국내 대학 총 5곳이 10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Five Korean universities have secured spots in the top 100 of the Quacquarelli Symonds World University Rankings for 2025, showcasing the country's growing academic excellence. The metrics used for the ranking included academic and employer reputation, faculty-student ratio, citations per faculty, international faculty ratio, international students ratio,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employment outcomes, and sustainability.
5/27/2024
지방의대 대폭 증원, 대치동 아닌 '지방유학'
2025학년도 의과대학 증원이 확정됨에 따라 대학들이 지역인재전형을 크게 늘리면서 ‘지방 유학’ 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며 비수도권으로 이사하려는 학부모들이 나타나고 있다. 의대와 같은 최상위권 대학에 자녀를 보내기 위해 사교육 중심지인 서울 강남구 대치동으로 이사해야 한다는 인식이 뒤바뀔 수 있다는 얘기다. Ministers are allowing private schools abroad to brand themselves as “British schools” despite not teaching about same-sex relationships, equality or drug abuse as required in England, the Guardian has learned. Korean students studying in China have declined 78% since 2017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 shift in the perceived economic benefits of studying abroad and rising anti-China sentiment.
5/21/2024
‘AI 학습 콘텐츠’ 확장 가속
학습 콘텐츠가 다양해지고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선호하는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필수 기술인 인공지능의 강점은 무엇보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확한 피드백과 효율적인 학습 시간이다. 프리윌린이 교사를 위한 AI 수학 문제은행 솔루션 '매쓰플랫'의 B2G 버전으로 학교 맞춤형 서비스 '스쿨플랫'을 오픈하고 학교 현장을 위한 에듀테크 솔루션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혔다. Given that today’s students are digital natives, it makes sense for schools to invest in modern educational technology such as interactive whiteboards. Academic studies confirm that interactivity and active learning can greatly enhance student engagement in the classroom. What’s more, both teachers and students seem to enjoy learning better when they use interactive whiteboards. That’s why it’s crucial to make sure these tools are available during school hours.
5/14/2024
내년 AI교과서 도입, 인프라 구축에 963억원 투입
교육부가 내년에 도입되는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의 현장 안착을 위해 초·중등 학교의 디지털 학습기기와 인터넷 환경을 개선하고 전담 인력을 배치하는 내용으로 963억 원을 들여 학교 디지털 환경 개선에 나선다. 최근 동갑내기 여자친구 살해 혐의를 받는 수능 만점의 명문대 의대생 최모씨 관련 전문가는 점수화된 정량 지표로 이뤄진 한국 입시제도가 공감능력 등 인성 함양에는 무관심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The Korean government said that it would inject $70 million into improving digital infrastructure and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at public schools in a bid to kickstart teaching and learning powered by AI. To alleviate the additional burden on teachers of acquiring digital skills, the ministry will test-run technical support centers across metropolitan education offices.
4/23/2024
2024년 4000억 투입, 교사 디지털 역량 높인다
교육부는 내년부터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는 방침으로 2025년 초3·4학년과 중·고1 수학·영어·정보 교과부터 시작해 2028년까지 초3 이상 전 과목에 디지털교과서가 적용된다. 정부가 내년 교육대학과 국립 초등교육과 입학정원을 13년 만에 12% 줄일 예정으로 총 입학정원은 현재 3808명에서 2025학년도 3351명으로 457명 줄어든다. Dubbed the "classroom revolution," the initiative focuses on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eachers who would take on pivotal roles in turning classrooms digital. As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top-down or one-way, the new plan aims to cultivate creative and active learners, encouraging students to raise questions and conduct debates.
4/6/2024
교원, 매출·수익 악화 피하지 못했나
학습지 시장과 함께 에듀테크 시장에 안착한 교원이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상품 판매량 저하에 지난해 매출 8762억 원, 39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 매출과 수익 저하를 피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테크빌교육이 미국 에듀테크 기업 ‘패들렛’과 리셀러 파트너십을 체결,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이 학습 도구를 소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 Through partnerships with leading educational tech companies, Spotify now offers users access to video-based learning courses across four categories: make music, get creative, learn business and healthy living. These courses are integrated into Spotify’s mobile and desktop apps, providing users with a convenient and familiar platform to engage with educational content.
3/16/2024
사교육, 킬러문항에 의대증원까지 열풍 넘어 광풍
교육부의 ‘2023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사교육비가 27조10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고 ‘킬러문항’ 논란과 ‘의대 증원’ 등 여파에 고교 사교육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다른 교육부 관계자는 "저출산 문제가 고착화되면서 학부모들이 아이들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며 1인당 사교육비가 늘어나는 측면이 있는 건 맞다"고 설명했다. Koreans’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hit a new record high of $20 billion in 2023, as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to raise medical school and regular admission quotas prompted a frenzy of after-school classes. The Generative AI in Edtech market is on an exceptional growth trajectory, poised to expand from its current valuation to approximately $8,324 million by 2033, marking a CAGR of 41% from 2024 to 2033.
2/8/2024
법무부·교육부, 국제화 역량 인증대학 발표
법무부와 교육부가 ‘교육국제화역량 인증대학’으로 학위 과정 134개교, 어학연수 과정 90개교를 확정하고 우수 인증대학 18개교에 대해서는 정부 초청 장학생 수학대학 선정 시 추가 가점을 부여한다. 지난해 국내에 입국한 외국인 유학생 수는 전년 약 16만7000명에 비해 1만5000명가량 증가한 약 18만200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18 universities for their excellence in hosting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 total of 134 universities offering degree programs, including the 18, and 90 universities providing language training courses were selected as certified universities. Many universities are planning tuition increases and more programs for undecided majors for 2025.
1/23/2024
매년 증가하는 사교육비, 학생이 원하나 학부모가 원하나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이 2022년도에 25조원을 넘어선 한국, 자녀에 대한 높은 교육열로 학부모들은 지방대학보다 '인서울', '인서울' 중에서도 SKY, 요즘은 SKY보다 의학 계열로 보내려고 안간힘을 쓴다. 종로학원이 2023학년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정시 모집 결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정시 모집인원은 4660명이나, 합격생의 28.8%에 해당하는 1343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집계됐다. Koreans divide the country's 335 colleges in two: those "in-Seoul," and the rest. To tackle the social phenomenon of students shunning provincial universities, the government is eyeing hundreds of billions of won in extra funding to help those universities attract more students. Under the initiative, the Glocal University Project will select regional universities to receive 100 billion won ($76 million) each over five years.
1/5/2024
수시모집 40%도 못채운 대학 2배로 늘어
올해 대학 입시 수시모집에서 선발 인원의 40%도 못 채운 대학이 지난해 2배인 총 15곳에 달하며, 이 중 11곳은 수도권 외 지역으로 경북의 한 대학은 선발 인원의 10%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학년도 정시모집이 시작돼 원서접수 마지막 일인 1월 6일(토) 오후 6시에 마감하는 경우가 많으나, 고려대 등 일부 대학은 5일 마감으로 유의해야 한다. The number of children eligible to beg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fell below 60,000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amid an annual decline in the number of children being born in Korea. Japanese society has co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nd worked toward improving four key components: employment, housing, old-age support and women's careers.
11/14/2023
올해 수능 한파 없다, 이제 컨디션 관리 싸움
수능을 보는 16일 최저기온이 11~12도, 낮 최고기온이 18도 내외로 한파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주말 동안 초겨울 한파가 닥치면서 컨디션 관리에 집중하고 있는 수험생들은 비상이 걸렸다. 컨디션 관리가 가장 중요한 만큼 수능을 일주일 남겨둔 시점부터 공부하고 쉬는 시간, 점심 시간도 수능 당일과 똑같은 패턴을 유지해 신체리듬을 일정하게 만들면 당일 좋은 컨디션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The total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test decreased in 2023, while the percentage of retakers has reached its highest level in 28 years. The prediction that 2023’s Suneung will be easier than usual appears to have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takers. The Education Ministry announced that 504,588 applicants have registered for 2023’s Suneung, a decrease of 3,442 from in 2022.
8/28/2023
2027년까지 외국 유학생 30만명 유치
정부가 대학 경쟁력을 높이고 학령 인구 감소 충격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기준 약 16만7천명 수준인 외국인 유학생을 이공계 인재 중심으로 2027년까지 30만명 유치에 나선다. 첨단·신산업 분야 유학생을 전략적으로 유치하기 위해선 정부 초청 장학생 사업을 확대 개편해 이공계 석·박사생 비율을 지난해 30%에서 2027년 45%까지 확대한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a plan to attract 300,000 foreign students by 2027. The plan, known as the Study Korea 300K Project, is tied to Korea’s need to fuel its economy with high-skilled workers and to the government’s understanding that the competition for the world’s top international students is intensifying. At the same time, the high-school-aged cohort of Korean students is rapidly declining, adding additional urgency to the plan.
7/31/2023
영유아 보육예산 교육부로, '유보통합' 본격 추진
정부가 '유·보 관리체계 일원화 방안'을 발표, 보건복지부와 시·도, 시·군·구에서 담당하고 있는 영유아 보육 업무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으로 이관해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관리체계를 일원화한다. 예산 이관을 통해 복지부에서 교육부로 이체되는 국고 예산은 올해 기준 5조1000억원으로 올해 기준 유아교육 예산은 5조6000억원, 영유아보육 예산은 10조원이다. According to PowerSchool’s 2022 report, 34% use data to inform whole-child strategy implementation, 33% use tech to track student behavior progress, and 28% use tech to reinforce positive behavior. Amid condolences and calls for education reforms triggered by the recent death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government-released statistics showed that a hundred teachers in the country have also taken their own lives in the last six years, highlighting a crisis in the education sector.
4/18/2023
생존할 지방대 30곳에 5년간 1000억씩 투입
정부가 대학 폐교에 따른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 ‘선택과 집중’ 전략을 추진, 2026년까지 지방대 총 30곳을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해 대학당 연간 200억원씩, 5년간 총 1000억원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2024년 만 5세를 시작으로 2026년에 만 3세까지 유아 학비 지원금을 인상하고 학령인구 감소로 규모가 줄어든 병설유치원은 통합해 방학 중 돌봄·급식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The Korean government will increase its tuition support for children between the age of three and five starting next year. According to the ministry, the plan includes increasing tuition support for kindergarteners starting with five-year-olds next year, four-year-olds in 2025 and three-year-olds in 2026. The government will gradually cover more of the bill for after-school activities, too, the ministry said.
3/29/2023
사교육비 부담, 자녀 나이에 '0'붙이면 월 학원비
일상 회복에 최근 몇 달 사이 사교육비가 동시다발적으로 오르며 필수 과목 '국영수'에 예체능 학원까지 등록하게 된 학부모들은 최근 몇달 사이 부담이 커졌다고 토로한다. 정부는 일본이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병 관련 기술의 강제성을 희석하고 독도 영유권 주장을 강화한 초등학교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했다. South Korea's Foreign Ministry lodged a protest with Japan over descriptions in new Japanes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ummoning a senior diplomat of its neighboring country. The ministry said that "expressions over wartime forced labor were trivialized" in the textbooks and urged Japan to sincerely reflect on its wartime history and past apologies.
3/15/2023
사교육비 26조 사상최대, 등골 휘는 학부모
지난해 학생 수는 4만 명 줄었는데 초·중·고교생이 쓴 사교육비 총액은 26조원으로 전년도 23조4000억원보다 10.8% 늘며, 학부모들은 사교육비 부담이 지나치다고 입을 모았다. 시민단체는 학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공교육 내실화와 실제적인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Total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for Korean students was $20 billion last year, up 10.8 percent, according to a report released by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rivate education refers to all educational services received outside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including tutoring and hagwons, or private cram schools.
2/27/2023
혁신하는 대학에만 정부 지원
교육부가 중앙부처가 쥐고 있던 대학재정지원사업 예산 중 50%를 지방자치단체에 넘기고, 지원사업 칸막이를 없애 대학 자율성을 높이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를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2025년까지 유보통합을 밝힌 가운데 방점을 둬야 할 부분은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처우 수준’이지 ‘이름’이 아닐 것이다. A legal clause that requires foreigners to have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to teach students in Korea has become the subject of heated debate between the government and online private education industry. Ringle argues that it can ensure quality education by hiring undergraduates only from universities above a certain ranking, and that it can remove inadequate classes since all video chat classes can be recorded.
2/7/2023
2023학년도 입시 결과의 특징
수능 고득점자들이 수시에 대거 합격함으로써 23학년도 정시에서 상위권의 지원자가 줄었고 영어의 영향력 과소, 사탐 난이도 증가에 따른 인문계열의 방어력 강화가 특징이다. 지난달 대교협 정기총회에서 진행된 전국 4년제 대학 총장 116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39.5%가 내년쯤 등록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is gearing up to promot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by offering various online programs. These programs are provided b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established in 2022 by CUK, Korea's first online university. After taking the classes, they can have practical exercises with instructors and get feedback from them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1/19/2023
대학의 혁신과 대학기술지주 역할
예전 대학의 위상과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있는 것이 사실이고 해외에서는 기존의 대학과는 다른 체계인 미네르바 스쿨 등의 혁신 교육에 대한 논의와 실험이 줄을 잇고 있다. 중국과 심지어 우리가 보수적으로 알고 있는 일본에도 4개 대학에 국가에서 1조원의 자금을 출연, 대학의 투자 활동을 독려하는 상황을 조성하고 있다. Funding is another important aspect of Switzerland’s success. Unsurprisingly, this results in considerable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the country’s industry. This is formalized in the network of the eight Swiss Universities of Applied Sciences and the Arts, which acts as a bridge between the fundamental research taking place in the larger institutions...
1/1/2023
국민이 겪는 문제 해결하는 교육부로 거듭나겠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개인과 조직의 자율과 창의성이 더욱 존중받고 소통을 활성화하고 신뢰는 더욱 깊어지는 2023년을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사 양성과정의 차이는 유보통합 실현의 가장 큰 걸림돌로 정부는 2027년까지 보육교사 양성 체계를 ‘학과제’로 바꾸기로 했다. Creative thinking can be defined as thinking out solutions to a problem or creating innovations by coming up with unique solutions, original ideas, or pioneer approach. Since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can be quite comprehensive, educators have to prepare the learners to competently address the problems through each step of the way. Few important steps to be highlighted are: Identifying opportunities or problems, Brainstorming...
12/20/2022
29일부터 정시 접수, 26일까지 대입수시 추가합격 발표
26일까지 수시 추가합격자를 통보하고 오는 29일 정시 원서 접수를 앞둔 수험생들은 지망 대학의 수능 탐구 변환 표준점수와 영역 가중치 등을 살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비상교육은 국어·수학·영어·한국사·탐구 등 직업탐구·제2외국어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 기출문제 학습 앱인 태블릿 전용 '기출탭탭'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The opportunity to receive higher education still depends largely on the income level of parents in Korea, a country with one of the highest college entrance rates in the world, a study showed. "This problem won't just give impact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it will lead to a long-term stratification of society.” said Choi Soo-hyun, a research with KRIVET.
12/5/2022
다문화사회로 가는 한국, 세계시민교육 중요해져
이주배경인구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5%를 초과하는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한국이 다문화가정 국가 간의 상호의존성이나 관련 교육의 중요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라남도 교육청이 일본 사가현과의 국제교육교류 사업을 재개, 김여선 혁신교육과장은 “다문화강점 강화를 통한 글로벌인재양성 계획에 대해 사가현교육위원회도 공감과 관심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Although multiculturalism itself is a beautiful word, it has not been used as commonly in Korea but is now becoming more frequently heard in Korea, as the country is culturally diversifying. It is true that countries that are culturally and ethnically diverse are advanced with strong democracy and welfare.
11/28/2022
어린이집·유치원 차별 없앤다
여당이 정책간담회를 통해 반별 정원, 기관보육료 지원 문제와 어린이집 원장의 교사 겸직 등 보육서비스 질 저하 문제를 시급히 개선하고 보육교사의 처우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저출생이 극심한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정부가 어린이집 질을 높이고 시간제보육 서비스를 늘리는 등 양육자 부담을 대폭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 A demonstration experi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tect dangers that could lead to fatal accidents at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s underway in this southwest Japan city. It is designed to analyze footage to detect dangers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ensure safety measures and prevent life-threatening accidents at child care facilities.
11/21/2022
대학별고사·입시설명회, 대입레이스 본격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끝났지만, 대학별 논술·구술 면접, 입시설명회 등 본격적인 대입 레이스는 수능 종료와 함께 지난 주말부터 시작됐다. 잇올 랩 이상목 소장은“대입은 수능 점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수로 많은 기회가 열려 있는 입시 영역이 있는 만큼 대입 전략에 따라 입시성공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고 전했다. In the JoongAng Ilbo's comprehensive assessment, which took into account all 33 categories and looked at 45 four-year comprehensive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that offer degrees in at least four of six major fields -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medicine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11/7/2022
다가온 수능, 늘 하던 패턴대로 학습 이어가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오자, 전문가들이 컨디션 관리에 유의하면서 수험생이 늘 하던 패턴대로 학습을 이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임 이주호 부총리는 첨단분야 글로벌 리더 육성, 규제 없는 대학 지원, 디지털 기술 활용 맞춤교육 강화, 교육의 국가책임 강화를 4대 정책 목표로 제시했다. South Korean young people face fierce competition in the education system and when they enter the workforce. Beyond the short-lived slogans and campaigns, a more profound cultural shift must take place to confront the socioeconomic structures and daily practices that young people are struggling to overcome.
10/31/2022
2023 정시 대학별 변경사항
정시에 서울대가 지역균형전형 신설과 교과평가를 도입하는 등 수능 영역별 반영 과목 및 비중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지므로 자신에게 유리한 방법을 적용하는 대학을 살펴야 한다. 자신에게 취약한 부분을 되짚고 보완, 마무리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전략적 준비도 필요하다. The PitchBook university rankings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of which colleges do the best job educating entrepreneurs, by counting the number of VC-backed founders among their alumni. Nearly 65% of undergraduate schools on the list are public, compared to 35% for private institutions.
10/17/2022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대상 확대
정부가 기존 초1~고1을 대상으로 시행했던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의 응시 대상을 2024년부터 고2까지 확대하고 2025년까지 학생 개인별 수준에 따른 맞춤형 진단을 제공한다. 조희연 교육감은 "공교육의 질을 높여 교육의 격차를 줄이고, 다양한 방식의 배움을 통해 학생 한 명 한 명이 역량과 꿈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The National AI Education Lab for innovative product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conduct research on smart digital education innovation. The use of intelligent technologies in the classroom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To exploit opportunities and prevent undesirable effects, Nolai has now been established.
10/5/2022
대학 공교육비 투자, OECD 평균의 58%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분석한 ‘OECD 교육지표 2022’에 따르면 한국 2019년 기준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1만1287달러로, OECD 평균의 64.3%에 불과했다. 정부의 반도체 관련 사업 예산이 약 8000억원 중첩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정작 첨단산업 교육센터 구축 예산 등 필요예산 7500억원은 반영되지 않아 논란이 예상된다. Universities outside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battling over higher enrollment in semiconductor departments. Universities should be in charge of training the masses, and post-graduate courses in graduate school labs should be expanded for research activities to generate elites with postgraduate and doctorate degrees.
9/27/2022
교육부, 국립대 사무국장 민간에 개방
교육부가 국립대 사무국장에 교육부 고위공무원을 파견하는 대신 타 부처 공무원과 민간에까지 직위를 개방해 대학의 자율성·독립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했으나 사회적 합의에 기반해 독립적으로 운영되기보다 교육부 정책 추진의 '면피용 기구'로 전락하거나 정파적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will finally be launched, after two months of hiccups, but concerns over its legitimacy remain. One of the first tasks of the committee is to evaluate and decide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 think universities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have diverse experiences. Education is about broadening the options...
9/13/2022
국내 최초 미네르바식 혁신대학 설립한다
한국아세안친선협회가 미국의 미네르바 프로젝트와 손잡고 오는 2024년 가을학기 개교를 목표로 혁신대학을 국내에 설립, 동아시아와 아세안 약 10개국 학생 100명을 선발한다. 국내 유수 대학교의 특수 단과대학 형태로 설립되며 경영학, 사회과학, 인문학, 컴퓨터과학, 자연과학 등의 전공과 심화과정으로 구성된 다양한 4년제 학위를 제공한다. The Korea-ASEAN Friendship Association has entered into a partnership with Minerva Project to build a new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the Minerva model. The new institution will provide students with the cognitive tool set needed to support peacebuilding, conflict mitigation and resolution locally and globally.
8/22/2022
‘확장현실’ 학습모델, 대학 혁신 공유의 장 열려
교육부가 포항공대, 한양대 등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 대학 우수사례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학사제도 등 대학 교육환경을 혁신하기 위한 전략과 개선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사용처를 찾지 못하고 기금으로 쌓아두는 관행이 심해지며 교육계에선 현행 교부금 사용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More faculty are supplementing their lesson plans with “extended reality,” or XR learning, which includes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Across campus, efforts are underway to make XR technology more accessible to professors and their students. XR learning is another way to expand that experiential learning, Gaudelli explained.
7/19/2022
주요대학 2023 수시모집 주요사항
전국 4년제 일반대학은 2023년 신입생 34만9124명을 모집, 이 가운데 수시에서 사회통합전형과 지역인재 특별전형이 대폭 늘어났고 전체 정원의 78.0%인 27만2442명을 선발한다. 한국공대는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전담하는 ‘2022년 지역산업 연계 대학 Open-Lab 육성 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에서 우수 평가를 받아 2단계 본 사업에 선정됐다. It has been two years since that fateful interview day. Although I am currently a graduate student here at Stanford, I still have no idea what happened and why I was admitted. Departments at Stanford have policies that they will not release feedback about their decisions to students. Let me again point out how asinine that is.
7/11/2022
한국외대 명예홍보대사에 '콩고 왕자' 위촉
'콩고 왕자'로 알려진 조나단 욤비를 명예홍보대사로 위촉한 박정운 한국외대 총장은 "조나단 학생과 한국외대의 긍정적인 이미지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기업평판연구소가 최근 한달간 대학교 브랜드평판을 빅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1위 서울대학교 2위 고려대학교 3위 연세대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Princeton mathematician June Huh was awarded the Fields Medal - often referred to as the “Nobel Prize of Mathematics” - at the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Award Ceremony. Huh is the first mathematician of Korean descent to win the medal. The Fields Medal is one of the highest distinctions that can be conferred upon a research mathematician.
7/4/2022
시·도 교육감 학력신장 한목소리, 자사고 존치 등 충돌
17개 시·도 교육감이 지난 1일부터 4년 임기를 시작, 교육감들은 한목소리로 ‘학력 신장’을 외치는 한편, 자립형 사립고 존폐 등에 대해서는 첨예하게 입장이 나뉜다.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은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혁신적 포용 교육으로 다양성, 책임, 미래, 공정, 상생의 가치를 교육정책에 담아 새바람을 일으키겠다"고 말했다. The reason an overseas degree has become such a crucial step on the path toward joining the Korean elite lies in the corporate and educational policies that have been pursu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and their veneration of the “global elite.” International degrees have been a major force in certain areas, including US tech companies. But they have...
6/27/2022
대학생 무상교육 공약, 즉시 시행하는 장성군
민선 8기 김한종 장성군수 당선자 인수위원회가 공약사항 추진 계획 검토를 완료하고 ‘대학생 무상교육 공약’을 중기에서 단기로 변경하고 즉시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전국 대학 총장들이 가장 시급하게 혁파해야 할 규제로 ‘교육판 배급제’라는 비판을 받는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를 꼽았다. Most in-state undergraduates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will see no increase in out-of-pocket tuition expenses this fall with approval June 16 of the university’s budget for the coming year. About one-in-four undergraduates from Michigan - more than 4,000 students - will pay no tuition at all because of financial aid.
6/14/2022
사립대 교육용 재산 수익용 전환 쉬워져
사립대학 기본재산 관리 지침을 개정을 통해 학령인구 감소로 재정난을 겪는 사립대가 재정난을 개선토록 법인이 소유한 유휴 교육용 재산을 수익용 재산으로 전환이 용이해진다. 진보 성향의 조희연 교육감이 차기 협의회장에 선출됨에 따라 새 정부와 교육감협의회가 민감한 교육 이슈를 둘러싸고 입장차를 보일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The pandemic’s influence on higher education will be long-lasting and transformative - but not necessarily negative. Today, leaders in higher education are using lessons learned during the pandemic to reshape their institutions in ways that otherwise might have taken years to implement.
6/8/2022
재정 지원 제한 대학 21개교 확정
교육부 등은 지난달 17일 22개 대학을 재정 지원 제한 대학으로 지정, 이의신청을 받아 최종결과는 선린대를 구제하며 정부 재정 지원 제한이 확정된 곳은 전국 21개 대학이다. 에듀윌이 자격증과 공무원 교육 시장에 이어 하반기 오프라인 학원을 개설하는 등, 600억원대로 추정되는 국내 대학 편입 교육시장에 진출한다. According to Orfield, higher education has become an instrument “for the perpetuation and even the deepening of stratification and inequality” that too often rations opportunity by price. Baum and McPherson are also certainly right that higher education isn’t a silver bullet that can single-handedly overcome societal inequities.
5/30/2022
초·중학교 환경교육 의무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해 초·중학교의 장은 학교 환경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어린이집에도 유치원과 동일하게 환경교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박순애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가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지명되면서 교육부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The outlook of the election for Seoul’s education superintendent remains blurry for the conservative bloc, as candidates have failed to form a merger while continuing to attack each other. “I call for the self-reflection of the KTU as the group has ruined education so much that I have to run a campaign under such an extreme slogan,” Cho Jun-hyuk said.
5/16/2022
신임 교육차관, 공교육 전반적 전환 필요
장상윤 신임 교육부 차관이 "아이들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살릴 수 있도록 공교육 체제 전반의 전환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오는 6·1 지방선거에서 치러지는 17개 시·도 교육감 선거 후보등록이 마감된 25일 현재 현직 교육감 13명을 포함한 61명이 등록을 마쳤고 경쟁률은 3.6대 1이다. Research shows that outdoor classrooms promote inquisitive thinking, improve mental health, and reduce stress. Trask said there will be a transition period to get teachers, children and parents ready for the outdoor approach. The hope is that adults, as well as children, will benefit from experiences with nature.
5/9/2022
미래에 적합한 대학교육인가, 대학과 기업의 괴리
국내 업계에선 “경쟁국들은 반도체 인력 확보를 중요 과제로 삼아 양성 토대를 마련하는 데 비해 한국 정부는 무심하다”고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학이 사회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 하는 경직성 탓도 있지만 재정 부족으로 인한 운영 역량이 떨어지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According to Stanford University’s Guide to Reimagining Higher Education, 96% of university chief academic officers think that their students are ready for the workforce, whereas only 11% of business leaders feel the same. At the national level, governments will push universities into more R&D and innovation to gain national competitiveness, including R&D in defence and national security sectors.
4/25/2022
VR·메타버스로 캠퍼스 혁신
최근 대학들이 ‘캠퍼스 디지털 전환’에 나선 가운데 AI, VR, AR, 메타버스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학생의 참여와 강의의 질을 끌어올리는 한양대의 혁신 사례가 눈길을 끌고 있다. 코로나19 유행 감소로 일상 회복이 추진되면서 학교 현장도 오는 5월부터 전면 등교와 교육활동 정상화를 시작한다. Schools will adapt “normalcy attendance” measures, meaning face-to-face classes will be held and online classes will be reserved for special circumstances. Schools will adapt the normal attendance routine from May 1, when the transition stage begins, reintroducing both academic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all students.
4/18/2022
뿌린 대로 거두는 대학 랭킹의 실상
영국 QS의 2022년 세계 대학 순위가 발표에 따르면 아시아에서 싱가포르국립대, 난양공대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남보다 앞서 보고 앞서 투자하는 자가 승자가 된다. 수십 조원의 발전기금을 가진 미국 사립대학과 민간 발전기금의 1.5~3배 정부 대응 출연금을 지원받는 싱가포르 대학을 따라잡기 위해 국가 고등교육 재정 투자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nd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have emerged as the top universities in Asia based on global rankings by subjects. "The consistent improvements made by Singaporean institutions in our rankings result from a decade of investment and strategising," said Ben Sowter, research director at QS.
4/11/2022
교육부, 빠르면 내달 정상 등교 검토
교육부는 내달부터 적용할 학교 방역 체계와 학사 운영 방침에 대해 논의에 착수, 방역 당국이 조만간 내놓을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체계와 연계해 이를 결정할 방침이다. 시행착오 끝에 최근 전국 학교 곳곳에 조립식 건물인 '모듈러 교실'이 들어서고 있고 업그레이드를 거듭해 이제는 미래교실 체험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한다. Taking a step back from its initial decision to ban COVID-19-confirmed students from taking midterms,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looking into allowing them to sit for the exams. The decision was met with complaints from students and parents, as a significant number of students will be likely to miss out on the exams due to the ongoing omicron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