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ll Technology News
Top stories summarized by our editor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23/2025

기초과학연구원, 고성능 인식 기술 개발

기초과학연구원 이창준 단장 공동연구팀이 뇌 시각피질이 시각 정보를 선별·처리하는 방식을 응용한 AI 이미지 인식 신기술을 개발, 이 단장은 “AI와 뇌과학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융합 모델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이로스랩이 SK증권, 에이온 인베스트먼트, 신보로부터 총 32억 원 규모의 프리-A 투자를 유치, 자체 개발한 AI 기반 신소재 발굴 플랫폼 'AIMI'를 통해 최적의 소재 조합을 제안함으로써 개발 비용과 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To allow audio sensing without compromising privacy, researchers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developed an on-device filter, called Kirigami, that can detect and delete human speech segments collected by audio sensors before they're used for activity recognition. Kirigami also balances how aggressively it removes possible speech content with a configurable threshold.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18/2025

GIST, 물체 인식 정확도 높이는 AI 기술 개발

GIST 이규빈 교수팀이 오류 추정을 통해 미학습 물체의 인식 결과를 정제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 실시간으로 오탐지된 물체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기능을 갖춰 로봇의 시각 인지 능력을 한층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세종전자시험장에서 열린 시연에서 기존 광학 장비로는 탐지가 어려운 수 ㎞ 떨어진 드론을 야외 환경에서 식별하는 데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고 전했다. Korea has tested a new radar technology that can detect drones located a few kilometers away, the state arms agency said, in a move expected to strengthen the military's reconnaissance capabilities. ADD said it successfully detected small drones located a few kilometers away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hotonic radar technology in an outdoor environment.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14/2025

뇌 구조와 동작 방식을 모사한 소자 개발

강성준 경희대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뇌 구조와 동작 방식을 모사한 광 뉴로모픽 소자를 개발, 강 교수는 “앞으로 인공지능 기반 머신비전 기술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리라 기대된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세계 머신비전 시장은 일본 키엔스를 선두로 미국 코그넥스, 텔레다인이미징, 독일 바슬러, 일본 오므론 등이 시장을 키우고 있고 의료 AI 진단, 3D 인식 등 적용 분야도 넓어지고 있다. A research team led by Professor Jia Pan and Yifan Evan Peng at the HKU has recently developed a neuromorphic exposure control system that revolutionizes machine vision under extreme lighting variations. The NEC system solves this by integrating event cameras - sensors that capture per-pixel brightness changes as asynchronous “events” - with a novel Trilinear Event Double Integral algorithm.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6/2025

관세 전쟁에 대참사?

미국 기술기업들 사이에는 관세가 막대한 비용을 초래해 미국 기술계를 10년 후퇴시킬 것이며, 중국이 확실한 승자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하고 공화당 내에선 정치적 재앙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뒤 애플의 주가는 지난 3~4일 이틀 동안 16%가 하락했고 엔비디아의 주가도 같은 기간 15% 가까이 하락하는 등 빅테크 기술기업들이 트럼프 관세 정책의 직격탄을 맞으며 경기침체 우려가 커졌다. Apple, Amazon, and other tech companies reliant on global supply chains stand to lose the most from President Trump’s trade policies, but some software firms expect more demand for their services. Some tech companies, however, especially those already entrenched in areas like logistics and data analytics, may see opportunities in Trump’s trade polic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30/2025

재료연, 비희토류 영구자석 제조기술 개발

재료연구원 박지훈, 김종우 박사 연구팀이 강력한 자석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세계 최초로 비희토류 Mn-Bi(망간-비스무스) 영구자석 제조 기술을 개발, 노바텍에 기술이전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철강 3사는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제도 시행에 맞춰 탄소 배출 규격을 맞추기 위해 힘을 쏟고 있고 포스코는 단기적으로 '전기로', 중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에 한창이다. The steel sector is “hard-to-abate”, accounting for about 7% of global carbon emissions, whi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ow-carbon steel. Among them, Nippon Steel’s experimental results have even set a world record. China and South Korea are also making significant progress in low-carbon steel technology. South Korea’s largest steelmaker, POSCO, plans to launch hydrogen-based direct reduced iron steelmaking technology in 2028.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25/2025

양자연결 기술, 미래 양자컴퓨팅 새 돌파구

양자컴퓨터의 큐비트 규모 확장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기술로 '양자 연결'이 게임체인저로 급부상, 표준연구원 중심으로 '초연결 확장형 슈퍼양자컴퓨팅 전략연구단'을 구성해 초전도 큐비트와 양자연결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일본 후지쯔가 네덜란드 양자컴퓨팅 기업 큐텍과 '다이아몬드 스핀 큐비트 기반' 고정밀 양자 게이트를 구현, 양자 게이트의 큐비트를 늘리고 광학 양자칩과 제어 회로 등을 개발해 조기 실용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Quantum computing startup PsiQuantum is raising at least $750 million at a $6 billion pre-money valuation. Startups and major tech firms alike are chasing quantum computing, which can solve complex problems that would take conventional computers thousands or millions of years, such as predicting how atoms and molecules will interact. Scientists hope to use quantum machines to develop new materials for batteries and new drug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21/2025

업계 "자율주행 실증사업 밀도 높여야"

한지형 오토노머스에이투지 대표는 "완전 무인상태의 '레빌4' 단계에 닿기 위해 특정 구역 내 30~40%는 자율주행차가 다니게 하는 등 미국, 중국과 유사한 형태로 밀도 있는 실증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 관계자는 "자율주행차용 종합 안전 시스템 헤일로스는 1만 5000년 이상 엔지니어링 시간, 1000건 이상 자율주행차 안전성 특허 출원, 240편 이상 연구 논문, 30종 이상 안전성·사이버 보안 인증서 등 방대한 안전 기술 연구와 결과물을 통합한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The study established a road information-driving comfort dataset and devised prediction models using multi-head attention mechanism. This research predicted driving comfort based on road information and integrated it with global path planning, which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utonomous driving navigation systems and provides a valuable reference for related research.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14/2025

공기 중 이산화탄소 잡는 기술 개발

에너지기술연구원 박영철 박사팀이 자체개발한 건식흡수제를 이용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평균 96.5%의 고농도로 회수하는 데 성공, 연간 수백만t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게 됐다는 평가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국내 최초로 인산형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개발에 성공, 한수원은 "기존 연료전지 발전소에 해당 기술을 적용하면 친환경 발전소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Korea Hydro & Nuclear Power announced that it has successfully developed carbon dioxide capture technology from phosphoric acid fuel cell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KHNP held a "fuel cell carbon capture technology demonstration event" in Gwangyang and showcased technology capable of capturing more than 90% of carbon dioxide.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10/2025

친환경 과산화수소 생산 효율 높이는 기술 개발

KIST 공동연구팀이 탄소 촉매에 나노 크기 기공을 도입해 산소 농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과산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김종민 책임연구원은 "기존 촉매보다 실용성이 높아 산업화에 속도를 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일 공동 연구팀이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을 시각화해 관찰할 수 있는 주사터널현미경과 피코초(1조분의 1초) 단위의 테라헤르츠 광을 결합해 분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변환과 화학 반응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A team of researchers developed a new approach using metasurfaces, which are planar structures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aspects of light, such as phase, frequency, and polarization. This technique could enable compact quantum devices, facilitate quantum network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quantum computers small enough to fit on a laptop.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3/2025

2차원 무오류 양자컴퓨팅 소재 후보 물질 발견

연세대 김재훈 교수 연구팀이 제작한 2차원 반강자성체 물질에서 키타예프 스핀 액상의 특징을 발견, 김 교수는 “무오류 양자 연산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일본 기업은 양자암호 통신의 상용화에 주력하는 한편, 양자 인스파이어드라는 양자컴퓨터 유사 기술로 조합 문제를 해결하고 물류 경로를 효율화하는 등에서 슈퍼컴퓨터를 능가하는 성능을 내며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중이다. As US technology companies continue to unveil quantum processing units, the commercialization of quantum computers is expected to accelerate. South Korean firms are also investing in R&D centered around future applications. For South Korea, it is only in recent years that the country has begun to invest in the technology.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23/2025

플라스틱 쓰레기 해결할 신기술 개발

과학기술연구원 김태안 박사 연구팀이  폐기물 ‘0’를 목표로 하는 스마트 고분자 소재를 개발, 폐기 시 원재료로 회수 가능해 매년 5200만 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키옥시아가 332단 규모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개발, 일본 메모리 기업이 낸드 적층 기술에서 최첨단 제품을 내놓은 것은 삼성이 2012년 도시바를 제치고 낸드 세계 1위가 된 이후 처음이다. Professor José R Penadés gave "co-scientist" - a tool made by Google - a short prompt asking it about the core problem he had been investigating and it reached the same conclusion in 48 hours. A complex problem that took microbiologists a decade to get to the bottom of has been solved in just two days by a new AI tool. Korea's semiconductor technology trailed behind that of China in all key areas as of last year, marking a shift from previous assessments, a survey showed.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16/2025

'햇빛'과 '바람'으로 바닷물을 식수로

포스텍 전상민 교수 공동연구팀이 '태양열'과 '바람'을 활용해 바닷물로 깨끗한 물을 만들 수 있는 '회전형 3D 태양열 증발기'를 개발, 전교수는 "농축수 제거와 바닷물 속 유용한 미네랄 회수에도 응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양자컴퓨팅에 필요한 양자처리장치(QPU)를 개발중인 오큐티가 30억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 중성원자 QPU는 레이저로 제어되는 중성원자를 큐비트로 활용해 전하를 띈 포획이온 QPU와 비교해 더 많은 수의 큐비트 확보에 유리한 방식이다. By blending digital control with analog simulations, scientists have created a powerful new quantum simulator that pushes beyond traditional limitations. This hybrid system allows precise manipulation of quantum states while naturally modeling real-world physics, enabling breakthroughs in fields like magnetism, superconductors, and even astrophysics. Their findings were published in the renowned scientific journal Nature.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10/2025

양자컴-AI의 결합, 인류의 새로운 영역 개척

미셸 시몬스 실리콘퀀텀 창립자는 "'양자-AI'의 시대는 이제 시간문제일 뿐이며, 선순환 관계로 함께 성장해 AI에 양자컴의 계산 능력이 더해지면 인류는 기존 컴퓨터로 불가능했던 영역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도쿄대학교의 아사바난트 와릿 조교수와 후루사와 아키라 교수 팀은 NTT와 공동으로 빛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의 계산에 사용되는 '양자 얽힘' 상태를 기존보다 1000배 이상 빠르게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Shares of a small Japanese technology firm shot up nearly 60% on its first day of trade, while Seoul's largest IPO in three years tanked almost 10% as volatility driven by geopolitics again gripped Asia's equity markets. South Korea's LG CNS shares dropped from opening bell and traded in negative territory for the session, failing to arrest the recent trend of weak debuts for the Seoul market.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4/2025

AI로 성능 높이는 ‘홀 추력기 기술’ 개발

KAIST 최원호 교수 연구팀은 AI를 이용해 인공위성·우주탐사선의 엔진인 ‘홀 전기 추력기’의 추력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개발, 11월 발사 예정인 누리호 큐브위성에 실려 우주로 나가 성능을 검증한다. 산자부가 올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등 분야에서 첨단전략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소재·부품 기술 개발에 작년보다 3.2% 증가한 1조1천780억을 투자한다. The MOTIE has announced the '2025 Materials and Components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and will invest in materials and components technology development, including semiconductors, displays, secondary batteries, and biotechnology, as noted on the 4th. Additionally, it will invest in material development to enhance the high added value and eco-friendly competitiveness of key industries such as machinery and metals, automobiles, and chemical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7/2025

아이폰 로봇부터 전기차까지

애플 아이폰의 위탁 제조사인 대만 폭스콘이 로봇 기업 유비테크와 손잡고 공장에 휴머노이드 투입을 준비하는 한편 엔비디아와는 차세대 AI 서버 공급을 논의, 전기차 플랫폼 공개하고 배터리 공장 투자 계획까지 밝히고 있다. 지난달 '레인보우로보틱스'의 2대 주주에서 최대 주주로 올라선 삼성전자에 이어 LG전자가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하며 지분의 51%를 보유, 경영권을 확보해 자회사로 편입한다. At its board of directors meeting, LG Electronics decided to increase its stake in Bear Robotics, a California-based AI robotics startup, to 51% by exercising a call option on its initial 21% holding, the company said. Founded in 2017 by Google's former software engineer John Ha, Bear Robotics offers AI-powered indoor delivery robot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0/2025

전기연, UAM 리튬황전지 수명·성능 개선 기술 개발

전기연구원 박준우 박사팀이 도심형 항공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기술인 리튬황전지의 성능을 개선하는 탄소나노튜브와 산소 작용기를 결합한 기술을 개발, 이를 토대로 대면적·고용량 시제품까지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 미트라 기술부문 대표는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 양자 컴퓨팅 시대의 문턱에 와 있다"며 "2025년은 양자 기술 준비의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 국내에서는 주로 대학과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We research various fields, including quantum cryptography, which can, in theory, create unhackable communications. Our priority is to design and manufacture quantum devices such as sensors, chips and computers. These machines will be able to do massive computations that were impossible with conventional methods, sparking innovation in materials science, drug development, finance and defence.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4/2025

소재합성 필요 재료물질 '예측기술' 개발

화학연구원 나경석 박사 공동연구팀이 목적물질의 화학식 정보만으로 합성에 필요한 최종 재료물질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방법론을 개발, 원소들과 목적물질 간 열역학적 형성에너지 차이를 계산해 합성반응이 더 쉽게 일어나는 전구체를 찾아낸다. 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물리적 공격에 내성을 가진 딥러닝 가속기 기술 개발에 성공, 개인정보 및 딥러닝 모델의 정보 유출 위협을 최소화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This year's CES revealed clear signs of a shifting tech power dynamic. Japan staged an impressive comeback, Korea held back on debuting new products and China accelerated its rapid ascent. During the four-day event, which kicked off on Jan. 7,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focused on demonstrating their latest AI-powered home automation ecosystems and robotics vision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7/2025

강유전체 소재 활용한 메모리 기술 개발

KAIST 전상훈 교수 연구팀이 하프니아 강유전체 소재를 활용해 차세대 메모리와 스토리지 메모리 기술을 개발, 스케일링 이슈로 인해 답보상태에 있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 개발에 돌파구가 되는 기술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기존 출입 시스템을 교체하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출입 가능한 모바일 출입 센서 '패스미'를 개발한 비전아이가 중기부 민간투자주도형 기술 창업 프로그램 '팁스'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Over the past decade, from 2012 to 2021, LG Electronics has emerged as the leading filer of patents related to AI robots worldwide, according to a report releas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Japan's FANUC followed with 97 applications, and China's South China Normal University secured the third spot with 83 applications. Among other Korean applicants, Samsung Electronics ranked 8th with 41 application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2025

전자현미경 안에서 물질 온도 실시간 측정 기술 개발

UNIST 연구진이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물질의 초미세구조와 온도 변화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연구진은 또 시료에 레이저빔을 조사해 온도를 올리고, 온도 변화의 공간 분포를 추적하는 데도 성공했다. 과기부가 AI반도체, 첨단바이오,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와 디지털 혁신 등을 위한 2025년 연구개발 사업에 6조3214억원을 투자, R&D 생태계 조성 및 AI 대전환, 기술사업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d that it will invest 6.32 trillion won in the ministry's R&D budget for the new year, marking a 21.2% increase from last year. This substantial investment aims to bolster South Korea's position as a global leader i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cusing on key areas such as AI, semiconductors, biotechnology, and quantum technology.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23/2024

나트륨 이온 배터리 개발 착수

중국이 우위를 보이고 있는 배터리 분야의 국제표준인 리튬이온 전지에서 리튬 대신 나트륨이온 배터리를 상용화하면 미국과 동맹국이 전 세계적으로 도약하는 에너지 저장 산업에서 완전히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15분 이내 80% 충전이 가능한 고속 충전 능력을 갖추고 있고 안전성이 높지만 에너지 밀도가 리튬 이온 배터리에 비해 40% 정도 낮아, 같은 무게당 더 적은 에너지만 저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In response to the global supply chain crisi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unveiled an ambitious plan to discover 100 types of advanced materials and secure source technology within the next five years. Additionally, they will work to secure core technologies for 100 future materials in preparation for long-term innovation over the next 10 year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17/2024

이산화탄소→고품질 나노탄소 공정기술 개발

생산기술연구원은 김정필 수석연구원 연구팀이 이산화탄소를 경제성 높은 고품질의 나노탄소로 전환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국제 학술지에 게재, 이차전지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양정훈 선임연구원은 "이산화탄소를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고품질 나노탄소로 전환하는 기술은 해외에서도 사례가 없는 차세대 기술"이라면서 "다양한 형태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산업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The U.S. and China have renewed a decades-old agreement on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officials from both countries said, narrowing its scope and adding safeguards to address concerns about national security risks. Electrochemical diagnostic analysis reveals the synthesis of a higher proportion of SWCNTs at 900 °C. The proposed approach demonstrates a promising strategy for high-value CO₂ utilization.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10/2024

과학기술 정책 현안 처리 '빨간불'

당장 연말 처리가 예상됐던 정보통신업계 최대 현안인 AI 기본법과 단통법 폐지안 등의 국회 통과 여부가 탄핵소추 정국이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서 처리 순위에서 밀리며 불투명해졌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는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제미니, 메타의 라마 등 언어 모델에 대해선 “추론 능력, 일련의 행동을 더 안정적으로 완료하는 능력이 개선되고 있지만, 그 발전은 점진적인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The Canadian government said the Sovereign AI Compute Strategy would make “strategic investments” in public and commercial infrastructure to “ensure that Canadian innovators, businesses, and researchers have access to the compute capacity they need.” The competition among Korean companies to create Korean-specialized LLMs is intensifying as they aim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3/2024

위드텍, 방사성폐기물 ‘원천봉쇄’ 기술 개발

원자력연구원 연구팀이 로봇과 센서를 활용한 '오픈프랩 센서 이벤트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개발, 밸브 사용을 제거하고 튜브 사용량을 대폭 줄여 방사성 물질의 잔류와 교차오염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됐다. 기계연구원은 자율제조연구소 하태호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고성능 모터 제작이 가능한 자성체 3D프린팅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 금형없이 복잡한 모터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됐고 제작한 차세대 모터의 출력 성능 평가까지 완료했다. Rebellions Inc., a South Korean artificial intelligence chip design startup, officially merged with Sapeon Korea to form the first domestic AI chip unicorn under the unified name Rebellions. South Korea invests US$10bn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o strengthen domestic chipmakers amid Chinese competition and US policy uncertaint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9/2024

현대차, 근력 보조 ‘웨어러블 로봇’ 공개

현대자동차·기아는 작업자의 근골격계 부담을 낮추는 착용 로봇 ‘엑스블 숄더’를 최초 공개, 가장 큰 특징은 무동력 토크 생성 구조로 설계돼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별도로 충전할 필요가 없어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하다는 점이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AI G3 국가 도약을 위해 국산 AI-반도체를 활용하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및 'K-클라우드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AI컴퓨팅 생태계를 적극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This year’s top strategic technology trends span AI imperatives and risks, new frontiers of computing and human-machine synergy,” said Gene Alvarez, Distinguished VP Analyst at Gartner. The Top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25 are the star map you can use to keep your organization forging safely into the future. Each trending technology represents powerful new tools to vanquish productivity, security and innovation obstacl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1/2024

MIT와 신체 지능 고도화 로봇 기술 '피지컬 AI' 개발

로보티즈와 MIT가 산자부의 KIAT가 주관하는 국제 공동 연구개발 과제 공모에 선정되며, 최대 100억 원 규모로 정부지원과 함께 피지컬 AI 개발을 바탕으로 인간 수준의 조작 능력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전자통신연구원이 데이터 프로파일링 기술과 데이터 허브 상호운용 자동화 기술을 개발, 인공지능 기반으로 구직자의 맞춤형 일자리와 역량향상 교육을 추천하고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KAIST said that a team led by Kim Sanghyeon, a KAIST professor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developed an ultra-thin broadband photodiode in collaboration with Inha University of Incheon and Yale University of the U.S. The breakthrough shows high potential to enter the global market, as the team has secured the original technology for ultra-high-resolution shortwave infrared image sensors, a niche sector led by Japanese compan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16/2024

캐슈넛 껍질로 바이오중유 생산 기술 개발

에너지기술연구원 최영찬 박사 연구팀이 견과류 제품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캐슈넛 껍질로 친환경 바이오중유를 생산하는 원천기술을 개발, 기존 공정보다 생산 시간을 3분의 1로 줄이고 수율을 2배 이상 높일 수 있다. 기계연구원 AI로봇연구소가 액체 방울의 표면장력 원리를 모사해 바퀴의 강성을 실시간으로 변화시켜 계단이나 바위같이 일상생활의 다양한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휠과 이동체 로봇 기술을 개발했다. Inspired by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droplets, it goes from solid to fluid when it encounters impediments. This is what researchers from the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envision for their 'morphing' wheel, which can roll over obstacles up to 1.3 times the height of its radius. Wheels developed for a similar purpose such as non-pneumatic or airless tires have flexibility but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overcome obstacles, said researcher Song.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10/2024

반도체 활용 고정밀 가공기술 개발

카이스트 박인규 교수 공동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균일하게 코딩할 수 있게 보조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원자 침투성 향상을 위한 고정밀 나노패터닝 기술’을 개발, 원자 침투성의 개선을 통한 기능성 물질 코팅이 가능해졌다. 세라믹기술원이 실리콘 태양전지 폐 모듈을 샌드위치 구조 형태로 절삭해 실리콘 단면을 노출하고 염기성 용액을 이용해 실리콘을 액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식을 개발, 수소가스를 생성하는 동시에 금속 자원을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Nanopatterns inherent to nVACNTs facilitate atomic penetration, allowing for the more consistent and higher quality deposition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zinc oxide and alumina by atomic layer deposition. Furthermore, physical vapor deposition provides an improved coating of metal catalysts such as gold. This strategy achieves a larger decorated area while increasing a catalytically active reaction area.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4/2024

ETRI, 슈퍼컴퓨터 핵심기술 가속기 칩 개발

전자통신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시스템온칩 형태의 가속기용 칩 'K-AB21'을 개발, 한우종 ETRI 연구위원은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슈퍼컴퓨팅 시스템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중앙대 박해선 교수 공동연구팀이 ‘꿈의 신소재’로 일컬어지는 맥신의 열역학적 안정성 판단 효율을 100배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 소재의 안정성이 요구되는 이차전지나 촉매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s an AL framework consisting of a surrogate model and utility function for expeditious identification of thermodynamically stable MXenes in the extensive chemical space of 23,857 MXenes with compositional and stoichiometric diversity. The AL framework successfully minimized the number of DFT calculations while maximizing that of thermodynamically stable MXenes identified and can contribute to future studies in finding stable MXenes expeditiously.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30/2024

2040년에 휴머노이드 100억개

머스크 테슬라 CEO는 사우디에서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에서 단기적으로 인공지능이 심각한 위협이지만 장기적 위협으로 세계 인구 붕괴를 경고하며, "2040년엔 휴머노이드가 100억개가 넘고 사람보다 더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반도체 기업 출신이 중국에서 기술 유출 혐의로 체포된 가운데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는 “중국 메모리 반도체가 기술적 자신감을 가지자 한국을 상대로 ‘메모리 전쟁’을 하겠다고 보낸 신호일 수 있다”고 말했다. Korean authorities expect the United States’ decision to ban outbound invest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ther technology sectors in China to have a limited impact on South Korea's economy. Treasury Assistant Secretary for Investment Security Paul Rosen said AI, semiconductors and quantum technologies are “fundamental to the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of military, surveillance, intelligence and certain cybersecurity application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24/2024

울산대·GIST, 초고순도 금 나노입자 합성 기술 개발

울산대 이형일 교수와 GIST 이은지 교수 공동연구팀이 시판되는 저렴한 단량체들로 합성된 수화젤을 이용해 전자폐기물 용액으로부터 나노입자 형태로 고순도 금 회수 방법을 개발, 화학 엔지니어링 저널(IF: 13.3)에 게재됐다. 에너지기술연구원 전상구 박사 공동 연구팀이 가정용 혼합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고부가 플라스틱의 원료인 ‘디카르복실산’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 국가 온실가스 저감에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Reusable heterogeneous catalysts demonstrate sustainability and industrial potential. This study presents a cost-effective one-pot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immobilized in a hydrogel matrix from e-waste solutions, circumventing the need for gold precursors. South Korean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transport drone flying on multiple flexible rotors that self-correct to stay level in flight and can be used as a "flying shopping cart" to carry goods over uneven terrain such as stair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19/2024

UNIST, 수분 흡착 뛰어난 다공성 물질 개발

UNIST 최원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초고층 빌딩 설계 원리를 적용해 혁신적인 금속-유기 골격체를 개발, 다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MOF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조정해 수분 흡착 효율도 높였다. 조셉 헙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금속 유기골격체(MOF) 기술이 어느 환경에서도 다양한 구조를 안정하게 만드는 기술까지 도달했다"며 인공지능과 계산화학의 도움을 받아 잘 정립된 만큼 대량생산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The newly developed Metal-Organic Frameworks not only demonstrates exceptional water st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but also exhibits superior water adsorption capacity and reusability compared to previously reported MOFs. This approach highlights the versatility of metallolinkers in the design of complex multicomponent MOF structur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13/2024

오차 줄인 인공지능 기반 소재 설계 기술 개발

KAIST 김형준 교수 공동연구팀이 AI를 바탕으로 소재의 물성을 예측하는 기술인 '프로핏-넷'을 개발, 소재의 결정 구조뿐만 아니라 최외각 전자 배치, 이온화 에너지, 전기음성도 등 화학의 기본 개념을 학습해 AI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시장에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꼽히는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 개발과 라인업 확장에 집중,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사업을 개편하고 있다. Research into autonomous flight technology, which enables drones to perform complex tasks without pilot intervention, is particularly active. Autonomous flight drones estimate their position and orient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sensors. Based on this data, they employ LiDAR and other sensors to create 3D maps to understand surrounding obstacles and terrain.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7/2024

자율주행, 임박한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시장

미국 웨이모와 중국 위라이드가 각각 샌프란시스코와 베이징에서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 로보택시를 운영중이나 한국에선 레벨4 자율주행을 상용화한 사례가 아직 없고 운전자 없는 상태로는 시험주행조차 제대로 못하고 있다. SWM과 기술 협력을 통해 개발한 국내 최초 심야 자율주행 택시 코란도 이모션으로 지난달 서울 강남구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에서 택시 운송 서비스를 시작한 KGM 모빌리티가 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Hyundai Motor and Waymo secured a multi-year strategic partnership to advance autonomous vehicle technologies by integrating Waymo's sixth-generation self-driving technology into IONIQ 5 electric SUV, the companies said. "We are thrilled to partner with Hyundai as we further our mission to be the world's most trusted driver," Waymo co-CEO Tekedra Mawakana said. Jose Munoz, global COO and president at Hyundai Motor, said the carmaker will remain ready to manufacture the special vehicles for Waymo.

tech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30/2024

화학연, 고효율 마찰발전기술 개발

화학연구원 이수연 박사팀이 ‘이온겔 전기 이중층’과 내구성이 좋은 양전하 소재를 적용해 마찰 전기 발전 소재 성능을 13배 높이는 기술을 개발, 향후 상용화될 경우 스마트워치 등 휴대용 소형기기 충전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 남기태 재료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물질의 거울 대칭 구조 특성을 활용해 복제와 탈취가 불가능하도록 보안성이 높은 가시광 통신 암호화 기술을 개발, 군사 현장의 차량·드론 등 포인트-투-포인트 보안 통신 체제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This finding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our device in volumetric display and polarization-based holography. We developed a full-polarized light-emitting device through the integration of 3D printing of functional inorganic nanomaterials with concurrent semiconductor LED display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a lens system will extend the fidelity of the polarization states over much greater distances, facilitating practical long-distance VLC application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23/2024

GIST·서울대, 밤눈 밝은 카메라 기술 개발

GIST 송영민 교수 공동연구팀이 어두운 밤에도 물체를 구분하는 능력이 뛰어난 고양이의 눈 구조를 모방해 새로운 인공 시각 시스템을 개발, 기존 카메라의 한계를 보완해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감시 로봇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송 교수는 "고양이의 수직 동공과 휘판 구조를 모사한 고감도 인공 시각 시스템"이라며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도 하드웨어 자체로 물체를 인지하는 능력을 높였기 때문에 별도의 후처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Inspired by the feline eye, which features a vertically elongated pupil and tapetum lucidum, this study introduces an artificial vision system designed for superior object detection and recognition in a monocular framework. In the wak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oom, Korean tech giants are seen swiftly expanding their foothold in the Middle East, where countries are turning their eyes to AI as a hedge to diversify their oil-centric econom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17/2024

‘소버린 AI’가 뜬다

AI 영역에서 디지털 주권을 확립하려는 움직임은 안보, 경제 등 현실적 필요성이 크게 작용하며, 국가가 자체 데이터와 인프라를 갖추고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해 개발한 AI를 의미하는 ‘소버린 AI’ 논의로 이어지고 있다. 전자통신연구원이 CCTV 영상, 범죄통계정보, 측위정보 등을 분석해 범죄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자뷰’ 기술 개발을 완료, 향후 경찰과 전국 지방자치단체 CCTV 통합관제센터 등에서 주로 활용될 전망이다. A new study by Korea's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searchers has successfully developed a new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that can detect criminal activity and predict when crime is going to happen. AI and machine learning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I systems are used to process vast amounts of data from sensors, cameras, and radar to make real-time decisions on the road.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9/2024

선택적·초고속 빛 제어 기술 개발

한양대 심상완 교수 공동연구팀이 준1차원 나노결정에 압축 변형을 가하는 방식으로 고도의 선택성을 갖는 초고속 빛 제어 기술을 개발, AI 소자 및 광학칩연결, 레이저 기반 양자컴퓨팅 등 빛 기반 기술의 새로운 길이 열릴 것이란 기대다. 구글이 생성형 AI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유튜브 등에 접목 예정으로 빅테크가 기술 개발에 나서며 딥페이크 생성과 유통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e study have shown that applying strain effectively controls the ultrafast, polarization-driven all-optical switching in ZrSe3. The compressive strain spectrally decouples the excitonic and non-excitonic components, doubling the polarization selectivity of the sub-picosecond switching and tripling it compared to that in the tensile-strained ZrSe3. This work might propel advancements across a wide array of polarization-based technologies, encompassing optical communications, intra-chip interconnects, and neuromorphic photonic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2/2024

방사선 막는 섬유 개발

김대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연구팀이 1차원 나노물질인 질화붕소나노튜브와 아라미드 고분자 간의 상호작용을 조절해 섞이기 어려운 두 물질을 혼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방사선에 포함된 중성자를 막을 수 있는 복합 섬유를 만들었다. 고동연 KAIST 교수팀이 원전폐수에 함유된 삼중수소 제거를 위한 새로운 구조의 이중기능 소수성 촉매를 개발, 기존 촉매 연구에서 구현하지 못한 매우 낮은 농도의 동위원소 함량에서도 삼중수소 제거 반응에 탁월한 활성을 나타냈다.  Tritium, a radioactive hydrogen isotope, due to its ability to readily migrate and biologically incorporate via the water cycle, poses risks to marine ecosystems and the broader environment. It is quite challenging to develop a bifunctional hydrophobic catalyst with both high water repellency for preventing catalyst deactivation and high water vapor diffusivity for inducing exchange reactions simultaneously.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27/2024

ETRI, 불법 드론 탐지·추적 기술 개발

전자통신연구원이 '전자광학/적외선 연동 레이다 시스템'을 활용해 무단비행, 테러, 사생활 침해 등 범죄를 일으키는 불법 비행 드론을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이전으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산자부는 생산 자동화·로봇, 반도체·디스플레이, 에너지, 바이오·의료, 모빌리티 등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의 5대 핵심 전략 부문이 예타 면제가 확정돼 내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이 추진된다고 밝혔다. “Japanese scientists have picked up a good number of Nobel prizes, but South Korea has zero. When I looked at the profiles of Japanese Nobel scientists, they typically worked on some specific scientific problem for decades.” says Hemmert, who contributed to the report. “We need to find that intrinsic motivation for our students. Professors need to become role models, demonstrating that through this career we live a meaningful life,” says So Young Kim, a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er at KAIST.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20/2024

350m 거리서도 생체신호 감지하는 기술 개발

한양대 유형석 교수팀이 최대 350m 거리에서 생체 신호 감지가 가능한 스마트 의류 시스템을 개발, 유선 방식에서 한 단계 진화해 사물인터넷 센서 기술과 접목하면 산업 환경까지 응용 범위가 확장될거란 전망이다. 데이터센터에 적용되는 AI 반도체인 ‘아톰’ 양산에 돌입한 리벨리온과 데이터센터용 NPU인 ‘X330’을 양산 중인 사피온이 합병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 오는 4분기 설계가 끝나는 리벨리온의 차세대 AI칩인 ‘리벨’ 출시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In a market dominated by Nvidia GPUs, the South Korean AI chip designers Rebellions and Sapeon Korea are among those offering an alternative vision for AI processors. Their respective AI chips, Rebellions’ ATOM range and Sapeon’s flagship X330, excel at machine learning inference, i.e. the process of using a trained AI model to make predictions or classifications on new data.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13/2024

바닷물 속 이산화탄소, 알코올 전환 기술 개발

화학연구원 김현탁 박사 공동 연구팀이 저렴한 비금속 촉매를 사용해, 해수 배터리의 문제점인 이산화탄소-나트륨 침전물을 줄이고 에탄올·프로판올 등 유용한 연료로 전환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성능의 촉매를 개발했다. 일본 방위성이 미국 국방부 DARPA와 국방혁신유닛을 모델로 '방위 이노베이션 기술연구소'를 개설해 AI, 로봇, 소립자 등 분야의 전문가를 기용해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기존 기술을 응용해 새로운 방위 장비를 만들도록 할 계획이다. LG AI Research has launched Exaone 3.0, South Korea’s first open-source AI model, marking the country’s entry into the competitive global AI landscape dominated by U.S. tech giants and emerging players from China and the Middle East. The 7.8 billion parameter model, which excels in both Korean and English language tasks, aims to accelerate AI research and contribute to building a robust AI ecosystem in Korea.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6/2024

급변하는 이용자 취향 맞춰주는 AI 기술 개발

KAIST 이재길 교수팀이 다양한 데이터 변화에 적응하며 새 지식을 학습하고, 기존 지식을 망각하지 않는 새로운 연속 학습 기술을 개발, 이용자에게 맞춤형 제품이나 서비스를 알려주는 '추천시스템' 발전을 이끌 전망이다. 서울대는 임종우 화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전기차 배터리 화재에서 온도가 급격히 치솟는 열폭주 현상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제어할 코팅 기술을 개발해 1일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의 표지 논문으로 공개됐다. Crosstalk, the exchange of chemical species between battery electrodes, significantly accelerates thermal runaway of lithium-ion batterie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results revealed that the full cell showed unique exothermic peaks as evidence of the production of a considerable amount of additional heat, which were not detected in either cathode- or anode-only. Korea’s major battery manufacturers are betting big on prismatic batteries due to their superior safety compared to the pouch-type option.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30/2024

LIG넥스원, 고스트로보틱스 인수

LIG넥스원이 한국투자PE와 함께 미국의 사족보행 로봇 전문 기업 고스트로보틱스 지분 60%를 약 3천320억원에 인수해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탐색·구조, 화재감시·진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했다. 여자 양궁 국가대표팀이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여자 단체전 10연패라는 신화 달성에 경기 감각을 향상시키는 '개인 훈련용 슈팅로봇'이 한 몫 했다는 평가다. Top South Korean archers Kim Woo-jin and Lim Si-hyeon competed against a cutting-edge shooting robot, developed by Hyundai Motor Company’s tech team for the upcoming Paris 2024 Olympics. Despite both Kim and Lim being bested, they noted, “Competing against a robot that consistently scores near-perfect tens provided us with valuable insight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22/2024

ETRI, 범죄예측 AI '데자뷰' 개발

전자통신연구원은 범죄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는 인공지능 기술 ‘데자뷰’를 개발, 지자체 등 CCTV 관제실에 설치하고 범죄 징후를 경보로 울려 경찰이 출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공상과학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와 같은 장면이 현실화된다. GIST 김호범 교수팀이 나지루딘 스위스 로잔 연방공대 교수팀 등과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함제어 기술을 개발했다. We report that 6H polytype perovskite effectively engineers defects at the interface with cubic polytype FAPbI3, which facilitates radiative recombination and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polycrystalline film. The hetero-polytypic perovskite configuration may be considered as close to the ideal polycrystalline structure in terms of charge carrier dynamics and stability.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16/2024

재활용률 99.7%, 친환경 식품포장재 코팅기술 개발

이칠원 단국대 교수 연구팀이 분해가 잘되는 친환경 식품 포장재 코팅기술을 개발, 종이 재활용률을 99.7%까지 올렸고 퇴비로 만들었을 때 91.8%의 생분해성을 보여 기존 종이 포장재의 단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오픈AI가 인공지능의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드명 ‘스트로베리’ 프로젝트를 비밀리에 진행, 미리 예측하고 물리적 세계의 복잡한 작동 방식을 반영하는 추론 능력을 갖추게 하는 데 기술력을 집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OpenAI is working on a novel approach to it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in a project code-named “Strawberry". Project Strawberry seems to be a new model capable of improved reasoning, including going online to find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solving a particularly complex problem. Strawberry could be a new type of model that is a native reasoner from the ground up without requiring fine-tuning or additional training.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9/2024

육군, AI 레이더 기술 자체 개발

육군이 인공지능 기반 대포병 탐지 레이더 표적 분류 시스템 기술을 자체 개발, LIG넥스원에 기술 이전으로 기존 레이더 체계의 상호 운용성을 검토해 향후 성능 개량 및 신규 사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할 예정이다. KAIST 정명수 교수팀이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인 'CXL'로 고용량 GPU 메모리 읽기·쓰기 성능을 최적화한 기술을 개발, 기존 GPU 메모리 확장 기술보다 2.36배 빠르게 AI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A group of researchers from KAIST and chip design startup Panmnesia succeeded in more than doubling a GPU's memory processing speed with the goal of addressing the memory limitations of advanced GPUs that are used to train AI. The team, led by Professor Jung Myoung-soo, says its CXL technology can operate AI services 2.36 times faster than existing GPU memory expansion technolog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3/2024

뇌파서 감정 인식하는 기술 개발

한양대 임창환 교수가 인간 뇌 특성을 모방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뇌 신호에서 인간의 감정을 인식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 비대면으로 정신 관련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을 전망이다. 영국의 스타트업 니어볼트가 5분만에 충전이 거의 완료되는 배터리 신기술을 개발해 배터리 납품을 협의 중이나, 핵심 원료 니오븀의 지난해 전 세계 채굴량이 9만4천500t에 불과해 대량생산이 문제란 분석이다. Nybolt, based in Cambridge, has developed a new 35kWh lithium-ion battery that was charged from 10% to 80% in just over four and a half minutes in its first live demonstration last week. A crucial chemical element in Nyobolt’s batteries is niobium but, as Kephart pointed out, last year only an estimated 94,500 tons was mined worldwide.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25/2024

슈퍼 섬유 아라미드 핵심원료 원천기술 개발

TKG휴켐스는 가볍지만 강도는 강철보다 5배 이상 높고, 500도 이상 고열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슈퍼 섬유 "아라미드"의 핵심원료인 페닐린디아민을 생산하는 원천기술과 양산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K-방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주, AI, 유무인 복합, 로봇, 반도체 등  5대 첨단 방산 분야에서 첨단 항공 엔진 소재 등 핵심기술 60개를 선정, 특히 국산화 파급 효과가 높은 방산 소재·부품 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The Korean government said that they have finalized a development roadmap for materials and components in five defense-related sectors - space, AI, hybrid unmanned-manned systems, robotics and semiconductors. The core technologies to be developed include advanced aircraft engine materials with high civil-military dual-use potential, world-class hybrid powertrains for main battle tanks and multi-band transceiver module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18/2024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 세계 첫 발견

KAIST 김세권 교수 공동연구팀이 반강자성체에서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를 세계 최초로 발견, 기존 정보처리 기술 한계를 뛰어넘는 초저전력 오비탈 기반 정보처리 기술의 기틀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텍사스대 댈러스 캠퍼스 연구진은 미 DARPA 의뢰를 받아 비행 중인 무인기에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 중으로 충전을 위해 무인기를 굳이 착륙시키지 않아도 될 전망이다. By investigating transport properties of magnon orbital moments, we predict that the magnon orbital Nernst effect is an intrinsic characteristic of the honeycomb antiferromagnet and therefore, it manifests even in the absence of spin-orbit coupling. Our results break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the Hall transport of magnons requires spin-orbit coupling by predicting the magnon orbital Nernst effect in a system without it.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12/2024

상온 양자컴퓨터 핵심기술 세계 첫 '개발-제어' 성공

표준과학연구원 국제 공동연구팀이 세계 처음 2차원 상온에서 스커미온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데 성공, 소모 전력을 낮추고 양자 효과 극대화로 상온 양자컴퓨터나 AI 반도체 개발의 기반 기술로 활용 가능할 전망이다. 양자기센싱그룹 양승모 선임연구원은 "AI의 발전과 함께 전력 수요가 폭증해 초저전력 반도체 소자의 필요성이 커지는 추세로 스커미온 제어 기술을 응용하면 차세대 AI 반도체 소자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Elon Musk said he would ban Apple devices at his companies if the iPhone maker integrates OpenAI at the operating system level. "That is an unacceptable security violation," Musk said in a post on X. Musk had sued OpenAI, which he co-founded in 2015, and its CEO Sam Altman at the beginning of March, saying they abandoned the startup's original mission to develop AI for the benefit of humanity and not for profit.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4/2024

스마트폰 충전을 1분 만에 충전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초고속 충전기를 통해 이온 이동의 흐름을 빠르게 하면 에너지의 충전·방전 속도가 빨라져, 스마트폰 배터리를 0%에서 100%까지 1분 이내에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팀이 개발했다. 정부가 국가 R&D에 정부납부 기술료를 기존보다 50% 하향 조정하고 대학이나 출연연구기관 연구자가 우수한 연구 성과를 창출했을 때 기술료의 연구자 보상 사용비율을 기존보다 10% 이상 올린다. Unlike electrons, ions move due to both electric fields and diffusion, and the researchers determined that their movements at pore intersections are different from what was described in Kirchhoff's law. Through this research, ion movement in a complex network of thousands of interconnected pores can be simulated and predicted in a few minutes. "That's the leap of the work," Gupta said. "We found the missing link."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28/2024

전기연, 리튬이온전지 수명 늘릴 핵심기술 개발

전기연구원 최정희 박사 공동연구팀이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가장 핵심적인 해결 과제인 급속충전 조건에서도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안정성 확보 및 장수명(long-life)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기술을 개발했다. 최 박사는 "급속충전에도 안정적인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전기차 보급 확대와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A multi-interface strategy is proposed for electrode tailoring using Al₂O₃ nanoparticles to enhance fast-charging capability while suppressing Li metal plating. This pushes Li+ deeper into the electrode and homogenizes the Li+ flux across the electrode's top surface.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the interfacial and microstructural design of high-capacity graphite electrodes for fast-charging, long-cycling LIB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22/2024

신규 하이-니켈 양극 전구체 표면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한양대 ERICA 방진호 교수팀이 리튬 이온 전지의 용량과 안정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코발트 프리 하이-니켈 양극재 전구체 개질 기술을 개발, 리튬 이온 전지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은 전구체 합성 과정에서 간단한 건조 조건 변화만으로 구현 가능해 기존 개질 공정 대비 경제성과 효율성이 매우 높아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This design leverages the high energy density of a Ni-rich core while employing an Mn-rich shell to enhance interfacial stability by suppressing unwanted reactions with the electrolyte. This strategy successfully suppresses Mn interdiffusion during subsequent calcination, leading to the preservation of the core/shell architecture in the final cathode material. This optimized structure mitigates interfacial reactions, enhances chemomechanical properties, and reduces crosstalk, a major contributor to rollover failure.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15/2024

미세먼지 크기별 실시간 측정기술 국내 첫 개발

기계연구원 한방우 연구팀이 해외 의존성이 높았던 화력발전소, 소각장 등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처리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한양대학교 이주헌 교수 공동연구팀이 나노기술을 이용해 전이성 유방암을 10분 이내로 검지할 수 있는 ‘고감도 나노분자 진단 기술’을 개발, 국제 학술지 ‘ACS Nano’ 온라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Japan and South Korea owe their success to cooperative business models and substantial investments in R&D. Their emphasis on long-term growth is reflected in their evolving industries that constantly embrace new ideas and push the boundari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Dispersible magnetic nanoparticle-based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as promising candidates for ctDNA detection based on the detection performance and features of the platform material.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8/2024

ETRI, 반도체 양자점 레이저 대량생산 기술 개발

전자통신연구원이 고속 박막 기술인 '유기화학 기상증착 장비'를 이용, 갈륨비소 기판 위에 인듐비소·갈륨비소 양자점 레이저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박인규 교수팀이 스마트 섬유용 기능성 나노섬유의 원천적인 재료적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범용적 금속·세라믹 나노리본 섬유 제조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South Korea will provide $7.1 billion in financial aid for local electric-car battery makers to build a new supply chain that complies with US tax credit rules intended to reduce reliance on China. Korean authorities will also continue to seek to secure key battery materials so domestic manufacturers can maintain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US by meeting requirements of the Inflation Reduction Act, the MOTIE said.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1/2024

나노입자 초고속 조립 기술 개발 성공

GIST 정현호 교수팀이 바위에 잘 붙어 있을 수 있도록 접착제 역할을 하는 홍합의 '족사'에서 영감을 받아 나노입자 초고속 정전기적 조립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에 실렸다. 정 교수팀은 양성자 보조로 나노입자의 부착 속도를 향상시켜 기존 대비 최대 1000배의 속도로 몇 초 내에 조립이 가능해지며 나노입자 기반 소자의 대량 생산 및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mploying proton engineering in electrostatic assembly accelerates the diffusion of nanoparticles, resulting in a hundredfold faster coating speed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results in the literature. These metasurfaces exhibit consistent resonating colors across diverse material and geometrical platforms, showcasing their potential for applications in full-color painting and optical encryption devic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24/2024

아주대, 친환경 고분자 소재 제조 기술 개발

아주대는 장혜영 교수팀이 이산화탄소를 통해 친환경 고분자 소재 제조가 가능한 고활성 촉매를 세계 최초로 개발, 국제 학술지 ACS Sustainable Chemistry&Engineering 2월호에 게재됐다. 장 교수는 이어 “여러 분야 산업체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Microsoft’s AI services connect with consumers through electronic devices like smartphones, home appliances, and TVs, which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dominate. LG and Samsung SDI are taking part in the 37th International Electric Vehicle Symposium & Exhibition in Seoul, showcasing EV battery technologies and the latest mobility technolog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8/2024

탄소나노튜브 섬유 개발, 5000번 구부려도 95% 성능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정현수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박사 공동 연구팀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섬유형 전극 소재를 개발, 웨어러블 기기의 기초소재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허청 분석에 따르면 한국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는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분야 특허등록 세계 1위를 기록하며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a major step forward for quantum computing, Microsoft and Quantinuum have unveiled the most reliable logical qubits to date, boasting an error rate 800 times lower than physical qubits. After the testing was completed, Microsoft argued that the team had created a Level 2 quantum computer, which is one that has a reasonably low error rate and can be scaled up.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19/2024

전고체전지 상용화, 고체전해질 대량생산 기술 개발

전기연구원 박준우 박사팀이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화재나 폭발 위험이 낮은 고체로 대체하는 전고체전지의 고체전해질을 단순 공정으로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 'Energy Storage Materials' 논문에 게재됐다. KERI 박준우 박사는 “매우 간단해진 공정에도 고체전해질의 품질은 훨씬 뛰어나 양산화·상용화를 위한 ‘기업 접근성’과 ‘효율성’을 모두 확보했다”라고 전했다. This study presents a novel, scalable, and cost-efficient wet synthesis approach to produce superionic conductive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rve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ing ASSBs, making them suitable for implementation in high output power and long cruising distance electric vehicles, pushing the envelope for battery-powered transportation solution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3/2024

나노 구조 변화로 색·모양 표현하는 기술 개발

UNIST 구강희 교수는 "복잡한 공정 조건 없이도 스스로 조립되는 광학 입자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됐다"며 "스마트 도료와 고분자 입자의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2년 기준 4조7000억원 규모로 급성장하고 있는 전 세계 스크린스포츠 시장에서 지난 20년간 출원된 관련 특허의 58.4%를 우리나라가 차지하면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competition in AI-based services intensifying globally, heads of Big Tech firms have visited Korea one after another to enhance cooperation with Korean tech companies and take the lead in burgeoning markets. China has overtaken Korea in 136 national core technologies across 11 major fields for the first time. China's technology level is at 86.5% in 50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surpassing Korea (81.7%) and Japan (85.2%).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16/2024

지질자원연, 폐리튬일차전지 재활용 기술 개발

지질자원연구원 류태공 박사 연구팀이 폐수로 방류되거나 매립처리하는 폐리튬일차전지 침출액에서 고순도의 리튬을 환경친화적으로 분리·정제·전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류 박사는 "폐전지와 폐수의 업사이클링 기술을 기반으로 저품위 염호에서 리튬직접추출 기술을 접목해 리튬 자원화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Patent analysis reveals that South Korean companies are likely to dominate the lithium-ion battery patent landscape in the near future, surpassing Chinese, Japanese and US firm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Deploying desiccant dehumidifiers is essential to conduct battery recycling in a highly controlled environment. Deciphering the importance of Li-ion battery recycling, let’s look at the different ways to recycle batter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5/2024

땀에도 강한 웨어러블 로봇 제어 센서 기술 개발

노인, 뇌졸중 환자, 외상 환자들의 다양한 재활치료에 활용되는 웨어러블 로봇이 땀이나 각질 등에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제어되도록 돕는 근전도 센서 기술을 KAIST 정재웅 교수 공동연구팀이 개발했다. 표준연은 2029년까지 총 244억원이 투입되는 4개 연구실에서 국방 양자컴퓨팅 기술, 원격관측 한계돌파 양자 수신기, 초정밀 양자 PNT 기술, 유도·탐지용 소형 복합 양자센서를 개발한다.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opened an institute specialized in developing military quantum computing and sensing technology, the state-run procurement agency said. The institute was established to develop its own quantum computing technology for the military's secure communications, which is banned from exports in the United Stat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8/2024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 실패해도 제재 감면

‘미래도전국방기술’ 개발 업체가 연구개발에 실패했더라도 성실하게 과업을 수행한게 인정되면, 공공입찰 참여 제한이나 사업비 환수 등의 제재를 감면하는 내용으로 국방과학기술혁신법이 개정된다. KAIST는 김상욱 교수팀이 2022년 그래핀 소재와 액정섬유를 결합한 복합소재로 개발한 헤라클레스 인공근육 기술이 국제화학연합(IUPAC)에서 '2023년 10대 유망기술'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일본 덴소가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로봇제어 기술을 개발하고, 이달 13~14일 나고야시에 위치한 메이테츠백화점 내 기념품 가게인 ‘메이테츠 상점’에서 시연한다고 밝혔다. Korean tech companies are gearing up to showcase their latest cutting-edge products and innovations at the upcoming CES 2024, the world’s largest tech trade show that opens in Las Vega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18/2023

세계 첫 공간 컴퓨팅 기술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인 브이터치는 중기 기술혁신개발 지원을 통해 사용자 주변 공간이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주는 기술인 글로벌 유일의 실세계 공간 컴퓨팅 기술을 개발했다. 영남대 류정호 교수 국제 공동연구팀이 세라믹 기반 강유전체 소재를 나노구조로 상온에서 코팅하고 저온에서 열처리해 에너지 충전 및 방전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신소재를 개발, Advanced Materials에 게재됐다. ASML and Samsung Electronics agreed to jointly invest $760 million to build a plant in South Korea to develop high-tech semiconductor processing technology for cutting-edge chips. ASML will also collaborate with SK Hynix, the world’s second-largest DRAM chipmaker, to reduce power usage and costs for EUVs through hydrogen gas recycling technology.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2/2023

한·영 연구팀, 극초강력 레이저 구현 기술개발

광주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영국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 공동연구팀이 기존보다 1000배 이상 강력한 레이저 펄스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첨단 이론물리학과 천체물리학에서 예측하는 다양한 현상들을 실험실에서 구현하는 데 사용되고 레이저핵융합 연구에도 활용 가능해 에너지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the technological gap in NAND between Chinese companies and global leaders like the U.S. and South Korea, has narrowed to around two years. The future of clean energy, quantum technology, and innovation were among the topics of discussion between Kishida Fumio and Yoon Suk Yeol at an event held at Stanford University.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2023

인공지능 편향성 문제 개선 기술 개발

KAIST 황의종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의 학습 상황과 달라진 새로운 분포의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편향되지 않은 판단을 내리도록 돕는 새로운 모델 훈련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새 주파수 대역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고 소프트웨어 중심 네트워크 기술 등에 총 4407억원 규모의 6G 상용화·표준화 R&D 전략을 소개했다. Korea's science ministry unveiled its $324.5 million R&D plan, developing technologies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s, mobile core networks, 6G wired networks, 6G systems and the standardization of 6G, for 6G network service.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the plan is to develop an ultrahigh speed and large capacity optical transmission system that reduces latency in the wired network.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11/2023

양자얽힘 되돌리는 기술 개발 성공

KAIST 라영식 교수 연구팀이 약한 양자측정을 양자얽힘 검증에 도입해 양자얽힘의 직접적 검증을 진행하고, 되돌림 측정을 이용해 손상된 양자얽힘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라영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활용하여 검증된 양자상태를 양자암호 키 분배, 양자 원격 전송과 같은 다양한 양자기술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ˮ이라고 말했다. We propose and demonstrate a protocol that certifies the entanglement of a quantum state without fully destroying it and then recovers the original entanglement for subsequent quantum applications. Our results show how entanglement certification can be made compatible with subsequent quantum applications and be beneficial to sort entanglement for better performance in quantum technolog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19/2023

CXL 팹리스 스타트업 파네시아, 160억원 투자 유치

메모리 확장장치와 가속기, 프로세서, 스위치 등 시스템 장치를 연결하는 CXL 반도체 팹리스 기업 파네시아가 16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 CXL 반도체 기술 고도화와 솔루션 등을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재료연구원 정호상 박사 연구팀이 환경 오염과 먹이사슬로 인한 인체 및 유전 독성을 일으키는 미세 플라스틱을 현장에서 신속 및 고감도로 검출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The developed SERS-ML-based Microplastic detection method is applied for mixture MPs and for real matrix samples, demonstrating that the method provides improved accuracy. The Korean chip startup Panmnesia focused on developing intellectual property around a technology called Compute Express Link has raised a seed round that values it at $81.4 million, the company said.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29/2023

쭉쭉 늘어나는 '탄성 고분자 소재' 기술 개발

KAIST 강지형 교수 연구팀이 탄성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 물성과 자가 치유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고분자 설계법을 개발, 전자 장치나 유연한 로봇 구현에 필요한 소재를 개발할 가능성을 높였다. 강지형 교수는 “잘 찢어지지 않는 자가 치유 연성 고분자의 설계 및 합성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으며 차세대 소재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Mechanically tough and self-healable polymeric materials have found widespread applications in a sustainable future. By simply mixing multimodal and non-coordinating anions, we found a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on mechanical toughness and self-healing efficiency, which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design of coordination-based tough self-healing polymer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4/2023

보안성 높인 ‘광 암호화 기술’ 단서 찾았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최원식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연구팀이 비선형 산란 매질의 파동 전파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광학 컴퓨터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문정호 연구원은 "비선형 산란 매질을 통한 정보는 제어할 수 없다는 기존 통념을 깨고 광학 연산자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Professor Choi Wonshik’s team from the IBS Center became the first to discover that the optical input-output response of a nonlinear scattering medium can be defined by a third-order tensor, as opposed to a linear matrix. The tensor derived from the nonlinear scattering medium has a higher rank than matrices of linear scattering media, hinting at its potential as a scalable physical operator. This approach offers potential advantages over silicon-based logic, including reduced energy consumption and light-speed parallel processing capabilities.

tech.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3/2023

138조 세계시장, 양자기술 개발 추격

맥킨지는 양자기술시장 규모가 2040년 약 13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과기정통부가 양자컴퓨터, 양자통신, 양자센서 기술을 고도화하는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중장기 비전과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한상욱 KIST 양자정보연구단장은 "컴퓨터가 없었을 때의 세상과 컴퓨터가 있을 때의 세상처럼, 양자컴퓨터가 없었을 때의 세상과 이후의 세상은 많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South Korea will pour more than $2.3 billion into quantum science and technology by 2035, aiming to become the world’s fourth-largest powerhouse in the sector. The government has an ambitious plan to increase its global quantum technology ranking to fourth with a 10% market share by 2035, from the current 10th with 1.8%.

tech0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7/2023

AI 규제 주장, 선두주자의 AI 사다리 걷어차기?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 인공지능 선두주자들이 AI 규제를 외치는 가운데, AI 패권전쟁에서 선도기업들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AI 사다리 걷어차기'가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딥인사이트는 3D ToF 카메라 모듈에 경량화 및 최적화된 AI 모델을 탑재하는 기술로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모한 혁신 분야 창업패키지 사업 참가 기업으로 선정됐다. Leveraging its expertise in ToF cameras and volume measurement technology, Deep-In-Sight has introduced a groundbreaking AI-powered 3D vehicle interior monitoring system. Deep-In-Sight's proprietary Time-of-Flight cameras go beyond the capabilities of conventional models, boasting an extended range and wider field of view.

tech0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18/2023

옥수수속대로 '바이오 항공유 전환' 기술 개발

에너지기술연구원은 민경선 박사팀이 쓸모없이 버려지는 옥수수속대와 같은 폐기물을 고부가 산물인 바이오 항공유 중간물질 ‘레불린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레불린산 생산 연구는 식용 해조류를 원료로 사용했던 반면, 옥수수속대로 레불린산 생산 수율 20%를 달성해 레불린산 생산 원료를 다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Levulinic acid is a significant platform chemical obtained from biomass and can potentially be used to produce value-added biofuels, biopolymers, and biopharmaceuticals. The LA production from corncob was optimized to the following conditions: reaction temperature: 180 °C, 10 % corncob concentration: 10 %, H2SO4 concentration: 1M, and reaction time: 30 min, resulting in 19.9 % LA yield.

tech0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22/2023

한국형 UAM 안전운영체계 기술개발에 3천억 투자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안전운영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대상으로 선정돼 2028년까지 약 3000억원이 연구개발에 투자된다고 밝혔다. 모건스탠리는 오는 2040년까지 전 세계 UAM 시장 규모가 약 19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고 하이브리드형 AAM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플라나는 2028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중이다. German UAM company Volocopter has opened its first complete aircraft production facility, which it plans to kick into full operation later this month. Archer Aviation and United Airlines announced a partnership to launch a commercial air taxi route in Chicago and to plan to open the flight path between downtown and O’Hare International Airport in 2025.

tech0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4/2023

블라인드 사족보행 로봇기술 개발

KAIST 명현 교수 연구팀은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일부 업체 CEO들과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GPT 방식의 생성형 AI 개발 경쟁을 일단 멈출 것을 요구했다. A researcher team of KAIST has developed a quadrupedal robot that can navigate stairs and rough terrrain without the use of visual or tactile sensor in a disaster. Elon Musk and 1,125 people, including AI experts, have signed an open letter calling for a six-month pause on advanced AI development.

tech0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17/2023

워드 엑셀 PPT에도 AI 탑재, 근무의 미래가 바뀔 것

마이크로소프트가 구글의 워크스페이스 인공지능 탑재에 오픈AI의 GPT-4.0을 토대로 한 생성형 인공지능 코파일럿을 워드·파워포인트·엑셀 등 사무용 서비스에 탑재한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생성형 AI '챗GPT'의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I 기술에 실존적인 위험이 뒤따를 수 있지만, 인간이 개발한 가장 위대한 기술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The CEO behind the company that created ChatGPT believ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reshape society as we know it. He believes it comes with real dangers, but can also be "the greatest technology humanity has yet developed" to drastically improve our lives.

tech9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3/2023

다가오는 6G 시대, 휴대폰 기술개발 전쟁중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23'가 노키아의 메타버스 솔루션, ‘몰입형 음성’ 서비스와 함께 6G 네트워크 구현 등 빅테크 기업들의 신기술 경연으로 달아올랐다. 최초의 휴대폰 발명가로 물리는 마틴 쿠퍼 박사는 "미래 세대에는 인체에 이식된 바이오 기반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One day phones will become devices integrated into our skin, rather than the black rectangular slabs we’ve become accustomed to, according to the inventor of the cell phone. His vision hints at a possible future stage of humanity where our bodies are augmented with powerful microchips and sensors.

tech9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9/2023

저농도 폐수에서 암모니아 생산 기술 개발

KAIST 강정구 교수 연구팀이 구리 금속 폼과 니켈-철 층상이중수산화물의 복합체로 구성된 고효율 전기 촉매로 저농도 질산염 수용액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강 교수는 “친환경적인 전기에너지로 암모니아를 만들면, 비싼 수소 기체를 이용한 암모니아 생산 공정을 대체할 수 있다ˮ고 말했다. Highly efficient electrochemical nitrate reduction could become a key process for sustainable ammonia production overcoming many limitations of the Haber-Bosch process. The electrocatalyst operates via a hydrogen radical strategy leading to ultrahigh performance for NH3 production at low NO3− concentrations, thus paving the way to realising a sustainable and energy-efficient NH3 economy.

tech9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9/2023

글로벌 車업계, SW기술개발 사활

단순한 이동수단에서 '움직이는 스마트폰' 수준으로 자동차에 대한 개념이 바뀌는 가운데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차량용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앞다퉈 열을 올리고 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들이 SDV를 외치는 이유는 사용자를 한 플랫폼에 모아 데이터를 확보로 신속한 차량 성능과 수익 모델 확장까지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Software was a big theme for automakers attending CES 2023 in January. The future holds that nearly every vehicle feature will be controlled by software, which offer the potential to improve features over time. But he risks of software crashes and privacy breaches are real issues.

tech9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0/2023

주행거리 1.5배, 리튬 대체할 배터리 양극 소재 개발

GIST 엄광섭 교수 연구팀이 리튬이 존재하지 않는 리튬-프리 소재인 바나듐 산화물을 양극 소재로 사용해 기존 배터리 대비 약 50% 증가한 고성능 리튬 배터리를 개발했다. 해당 양극 소재는 1차원 나노구조 바나듐 산화물 대비 1.5~2배 이상의 증가한 에너지 저장 용량을 나타냈고, 100회의 충·방전 이후에도 약 80%에 달하는 용량 유지율을 확인했다. The V2O5 nanostructure can be fabricated via a modified hydrothermal method, including a Li+ crystallization inhibit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The enlargement of the favorable Li+ diffusion pathway in the direction and the formation of a robust hierarchical nanoplate-stacked structure in the modified V2O5 improves the electrochemical kinetics and stability ; as a result, the nanoplate-stacked...

tech9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16/2022

오른손·왼손 분자의 미세한 차이 잡는 기술 개발

성분은 같지만, 구조가 다른 분자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분석학, 진단학, 약학 등 다양한 산업뿐만 아니라 기초 학문 분야에도 큰 파급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 남기태 교수 공동연구팀이 카이랄 나노 입자 기반 빛-물질간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물리 현상을 발견해 이를 생체 분자 및 그들의 카이랄성 분석에 성공적으로 응용했다. The CRs exhibit a strong and uniform chiral near field over a large volume above the 2D crystal plane, resulting from the collectively spinning, optically induced dipoles at each helicoid. Thus, energy redistribution by molecular back action on the chiral near field shifts the CRs in opposite directions, depending on the handedness of the analyte, maximizing  the modulation of the collective circular dichroism.

tech9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6/2022

커피 찌꺼기로 반도체 폐수 정화 기술 개발

KIST 이민욱 박사 연구팀이 커피 찌꺼기를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과 섞은 뒤 전기를 방사하는 방법으로 캡슐 커피 1개로 약 10리터의 반도체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민욱 박사는 “이번 연구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폐기물을 복합 소재로 만들어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수처리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A joint team of researchers has discovered a way to reuse coffee waste by developing a biodegradable wastewater treatment filter for semiconductor production. Researchers removed coffee grounds from used coffee capsules and mixed the untreated coffee waste with a biodegradable plastic to create the nano filter.

tech9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9/2022

세계 최초 5G·6G 전자파 흡수소재 제조기술 개발

재료연구원 자성재료연구실 백연경·이정구 박사팀이 상용화가 가능한 5G·6G 대역의 초고주파 흡수소재인 입실론 산화철을 연속 제조하는 기술 개발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재료연구원 측은 밀리미터파 흡수가 가능한 자성 소재 기술을 양산해 제품에 적용하고 있는 회사는 현재 없으며, 5G 대역 흡수 차폐 소재는 미국, 일본, 독일 등 2~3곳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Korea's capital launched its first self-driving bus route, part of an experiment that engineers said aims to make people feel more comfortable with driverless vehicles on the roads. This design is intentional, said Jeong Seong-gyun, head of autonomous driving at 42 Dot, the start-up owned by Hyundai.

tech9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3/2022

뇌파 활용한 드론제어 기술 개발

건국대와 광운대 연구진으로 구성된 ‘NeuroK2 연구회’가 뇌파 신호로 드론을 원격 조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뇌파를 활용해 원격으로 드론을 제어하는 시연을 했다. LG디스플레이가 필름 형태의 진동발생 장치로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차량 내장재를 진동판 삼아 소리를 내는 방식의 보이지 않는 차량용 스피커를 개발했다. Korea-based electronics giant LG Display has announced the development of a unique flat speaker that can be placed in the roof, doors or dash panels of vehicles. LG calls it a "Thin Actuator Sound Solution" and it could revolutionize vehicle audio and infotainment systems by offering high fidelity in a compact form factor.

tech9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15/2022

혁신기술, 웹3.0·메타버스·스마트 워크

CES 2023에서는 오토모티브와 전기차, 스마트홈, 헬스테크 등 종전 산업군에 더해 분산과 소유를 중심으로 한 웹3.0과 확장 가상세계인 메타버스 기술이 대거 선보일 전망이다. 이원태 인터넷진흥원장은 “웹 3.0 시대를 맞아 웹 기술과 블록체인, 메타버스, 인공지능 등 신기술과 융복합이 가속화되어 디지털 대전환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Though metaverse technology is still in its nascence, there are already “millions” in Asia spending time and money on popular virtual platforms like Fortnite and Roblox, said Deloitte. “If you look at the youths … they’re are the ones who are interacting and engaging in the metaverse mostly today, and 60% of the world’s youths live in Asia,” he said. 

tech9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8/2022

전자통신연구원, 24개 주요 언어 이해 음성인식 기술 개발

전자통신연구원이  24개 세계 주요 언어를 음성으로 인식해서 문자로 바꿔주는 ‘대화형 AI’ 기술을 개발, 올해 안으로 지원 언어를 30여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음성인식 기술은 곧 찾아올 메타버스 시대에 세계 각국 유저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구글이나 메타 등 기술 대기업들이 음성인식 기술을 앞다퉈 개발하고 있다. Unity Technologies said tha it has updated its game engine software to help developers here create games more easily, according to the head of its Korean unit. Oh Ji-hyun, lead evangelist at Unity Korea, said "Through the update, ECS, one of DOTS technologies, and DirectX 12, which can provide better graphics, are now officially available."

tech8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1/2022

액화수소 연료전지 공급 및 출력 제어 기술 개발

철도기술연구원이 수소기관차 핵심기술인 액화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전기에너지로 출력 제어하는 조합시험에 성공, 모듈 6개를 기관차에 탑재하면 디젤기관차를 대체할 전망이다. 켄텍 노영태 교수팀과 카이스트 이의진 교수 등이 공동 연구를 통해 사생활 침해의 주범인 이른바 몰래카메라를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Korea will funnel $2.9 billion into research and development next year to promote 12 selected strategic technologies as part of the country's long-term future growth plan. The 12 technologies are semiconductors and displays, rechargeable batteries, advanced mobility, next generation nuclear power, advanced biology, aerospace and ocean engineering, hydrogen, cybersecurity, AI...

tech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25/2022

암모니아서 고순도 수소 생산·정제 기술 개발

에너지기술연구원 이신근 박사팀이 암모니아를 수소로 분해하고 동시에 정제까지할 수 있는 통합형 분리막 반응기를 개발해 99.99%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저온 촉매-분리막 복합 암모니아 개질' 기술은 500℃ 이하의 저온에서 팔라듐 분리막 반응기를 이용해 암모니아로부터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An alumina sol assisted pretreatment method for porous metal supports was investigated for a highly selective Pd composite membrane for ammonia decomposition. The ammonia decomposition test showed that the membrane reactor was able to achieve a high ammonia conversion (99.6%) and a high hydrogen purity (99.99%).

tech8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18/2022

2050년 인간보다 로봇이 많아진다

'세계미래보고서 2023'는 탈중앙화, 메타로빌리티, 메타모빌리티, 식량 위기와 푸드테크, 메타버스와 스마트 라이프, 디지털 헬스케어, 스페이스 테크, AI시대 미래교육 등 미래 시나리오 8가지를 제시한다. 앞으로는 발전된 인공지능의 언어처리 성능과 결합하여 사용자가 간단한 일상적인 말만으로도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로봇기술이 선보일 것이다. At the new headquarters of South Korea’s largest internet company, a fleet of self-driving robots whirl around delivering coffee, lunchboxes and mailed packages. Powering the robots is a critical technology: a private 5G network that gives them a stable connection to the cloud, or virtual server, where their computing takes place...

tech8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10/2022

전세계 기술 공급망 재편

중국의 성장률 둔화와 반도체·배터리 부문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선제적인 전략 마련과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혁신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세계 산업 지형을 미국에 유리하게 재편하려는 미국 정부의 대외정책과 세계의 공장을 첨단기술로 고도화시키려는 중국의 산업정책은 두 나라 사이의 기술패권 경쟁으로 불붙었다. Five years on, intensified US-China tension over technology - and especially semiconductors - has shifted electronics supply chains in slow but significant ways. The US continues to tighten its chip choke, rolling out new restrictions limiting China’s access to chipmaking software and equipment.

tech8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28/2022

수소 및 이산화탄소 혼합물 기체 분리막 기술 개발

KAIST 고동연 교수 연구팀이 전자빔을 탄소 분리막에 쏘아 0.05nm(나노미터) 이하의 크기 차이를 갖는 기체 혼합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체 분리막을 개발했다. 고동연 교수는 “전자 조사를 통한 분리막 기반의 분리 공정을 확대 적용할 수 있다면 산업계의 경쟁력 강화와 에너지 안보 확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A team of KAIST researchers has developed a new technology to separate hydrogen from other types of molecules using a carbon filter. Carbon molecular sieve (CMS) membranes are considered game-changers to overcome the challenges that conventional polymeric membranes face.

tech8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15/2022

메타버스 가능케 하는 홀로그램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광역학 메커니즘을 활용해 실감나게 만드는 메타버스 홀로그램 기술을 개발,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포토닉스 리서치’의 8월호 표지논문에 실렸다. 일본 화학기업 니혼제온이 자국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등과 AI로 복잡한 구조로 된 소재의 이미지, 계산 데이터 등을 정밀 분석해서 물성 등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has issued a patent to Proto, Inc. for its holographic display and communications platform, which was invented in 2018. "Until now, you needed to be a late rapper or eccentric billionaire to beam somewhere as a hologram," David Nussbaum, Proto CEO and the inventor of the technology, said in the release.

tech8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30/2022

리튬금속전지 출력·안정성 높이는 배터리 구조 개발

전기연구원은 음극에 기존 흑연 대신 리튬을 사용으로 차세대 대용량 전지로 주목받는 리튬금속전지의 출력과 안정성을 대폭 높이는 배터리 구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기연구원 김병곤 박사팀은 '중공 코어 다공성 쉘 구조의 탄소 나노섬유' 구조를 개발,  충방전을 할 때 내부 안정성을 해치는 '수지상 결정'이 형성되며 점점 부피가 커지는 문제를 해결했다. In a report released this week, government researchers said they have found a way to charge electric car batteries up to 90 percent in just 10 minutes. The method is likely five years away from making its way into the market, scientists said, but would mark a fundamental shift. 

tech8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23/2022

슈퍼컴퓨터 6호기 등 국가연구개발 예타 통과

과기부는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고도화 사업'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 등 3개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국내 모빌리티 ‘유니콘’ 플랫폼 기업 가운데 최초로 코스피 상장에 성공한 쏘카의 박재욱 대표는 차량 공유를 넘어, 자율주행 등 기술을 토대로 ‘슈퍼앱’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Socar, backed by SoftBank, and Korean strategic investor SK Inc., entered the unicorn club with roughly $150 million funding at a $1 billion in March from Lotte Rental. It will launch its transportation super-app later this year, providing all-in-one mobility services. Additionally, Socar is building an ecosystem for future mobility...

tech8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11/2022

물리적 복제 불가능한 IoT 보안·인증 원천기술 개발

KAIST 김상욱 교수 공동 연구팀이 사람의 지문과 같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무작위적인 분자조립 나노 패턴을 이용한 새로운 IoT 보안·인증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본 기술은 세계 최초·최고기술을 인정받고 있는 분자조립 나노 패턴 기술을 이용해 저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고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초고속 인증이 가능하다. Hardware-based cryptography that exploits physical unclonable functions is required for the secur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of devices in the Internet of Things. The labels are created from the multilayer superpositions of metallic nanopatterns replicated from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nanotemplates.

tech8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21/2022

첫 국산 초음속전투기 ‘보라매’ 개발, 시험비행 성공

항공기 설계부터 레이더, 임무컴퓨터, 전자전 체계 등 핵심장비 대부분을 국내 기술로 만든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가 개발 추진 20여년 만에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공군은 차기전투기 2차 사업으로 F-35A 20대가 조기에 추가 도입되면 KF-21의 추가 성능개량 대신 6세대 전투기 개발을 추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South Korea's homegrown KF-21 Boramae fighter jet flew for the first time, putting the country among the few nations to have developed and flown an advanced supersonic fighter. The KF-21 has significant export potential because it is expected to be cheaper than the F-35s the US sells to foreign militaries.

tech7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12/2022

햇볕·실내 밝기 연동한 조광 시스템 개발

한국광기술원은 스마트조명 연구센터 김유신 박사팀이 건물 내 조명 에너지를 절약하는 실내 차양 자동제어와 이를 연동한 광센서 조광 제어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실내 차양 자동제어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직사일광은 차단하고 확산 주광량에 따라 실내 조명기구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에너지 절감을 위한 조광제어시스템이다. Bluetooth is now in everything from smartphones to refrigerators to lightbulbs, allowing a growing number of products to connect to each other seamlessly - sometimes. Despite its pervasiveness, the technology is still prone to headache-inducing issues, whether it's the struggle to set up a new device to connect with, switching headphones between devices or simply being too far out of range to connect.

tech7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5/2022

자율주행로봇, 언제 달리나

자율주행로봇은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 활성화돼 세계 시장 규모가 지난해 2조원을 돌파했지만 규제에 가로막혀 국내에서는 자유롭게 달릴 수 없어 규제혁신 과제다. 기업들이 혁신산업에 뛰어들지 못해 글로벌 경쟁에서 낙오되지 않도록 새로운 기술·서비스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규제사각'을 메워야 한다는 게 대한상의의 주장이다. Korea’s National Police Agency appears to be preparing for the worst, as recent plans indicate the deployment of robot patrol dogs and body strengthening power armor within 30 years. According to the policy outline, the national police force plans to deploy self-piloting robots, automated cars and exoskeleton suits to aid body movement by 2050.

tech7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28/2022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박차

이통사들이 자율주행차 운행이 가능한 도로를 지속 확장해 나가는가 하면 대중교통 사각지역에 자율주행 셔틀을 공급해 스마트 교통도시를 구현하며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가 지형정보가 없는 지역을 탐사하고, 위험을 탐지하며, 탐사 지역의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기술인 자율터널탐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South Korea’s arms development agency has completed its application research on robotic technology for autonomous tunnel exploration. The robot can explore underground tunnels without topographic information, detecting risks and generating a 3D map of the exploration area, according to the agency.

tech7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21/2022

KAIST, 세계 최고수준 기계학습 시스템 기술 개발

KAIST 김민수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들을 처리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계학습 시스템 성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 행렬 연산자 융합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행렬 연산자 융합 기술 CFO 융합 연산자는 종래의 최고 수준 융합 연산자와 비교해 처리 속도를 최대 238배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통신 비용을 최대 64배 감소시키는 사실을 확인했다. "Nature is much more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than scientists would often like to think," said Sugihara, the McQuown Chair Professor of Natural Science at Scripps. EDM can help in this context as a form of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 way for computers to learn patterns and teach researchers about the mechanisms behind the data.

tech7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31/2022

자율주행기술, ADAS 특허출원 활기

일부 완성차 제조사를 중심으로 조건부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3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추진되면서, 주행 상황에 맞춰 운전자를 지원하는 'ADAS'기술 선점 경쟁이 치열하다. 화재 발생 초기에 불이 난 것을 인식한 뒤 자동으로 화재가 시작된 곳에 물을 조준 분사해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President Biden and Yoon Suk-yeol met in recent months to outline some common goals on technological innovations such as... The DOD has outlined five focus areas for technological collaboration and shared development with Korea, all of which directly affect global supply chain security: AI, 5G wireless technology, Quantum computing, Biotechnological research and Renewable energy.

tech7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24/2022

저전력 드론 자세 제어 기술 개발

세종대 김성호 교수 연구팀이 인간 두뇌의 신경망을 모사한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연산회로’를 이용해 저전력으로 드론의 자세를 정교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디지털프로세서 대비 1/4의 전력소모만으로 동일한 성능의 드론 자세 제어가 가능해 센서 데이터를 저전력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As industries around the world scale up their use of drones, they need technology that is easy to use, performs the same way every time, and remains stable when working inside highly sensitive assets. Flyability has unveiled what it claims to be  the world's first collision-tolerant drone equipped with a LiDAR sensor for indoor mapping.

tech7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17/2022

전기차 배터리 용량과 수명 예측 AI 기술 개발

포스텍이 오기용 한양대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의 용량과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특징 인자 추출 기법과 물리 지식 기반 신경망을 융합, 다양한 용량과 수명 분포를 지닌 테스트용 배터리의 용량 예측 정확도를 최대 20% 향상했다. Machine learning has been used to quickly discover some of the most promising materials for fluoride-ion batteries. The work could accelerate development of these batteries, which are tipped by some to rival, or even replace, lithium-based ones. Industry experts said there is no perfect way to prevent technology leaks, but the government should be more aggressive in...

tech7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10/2022

자율주행의 눈 라이다, 핵심부품 첫 국산화

우리로가 국내 최초로 레이저빔이 목표물에 맞고 되돌아 오는 빛으로 거리를 측정해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단일광자 라이다 수신소자의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SSPM 소자 하나에 200여개의 SPAD칩이 저항소자와 함께 집적되어 있는 구조로 한국에서는 유일하며, 세계적으로도 몇몇 기업만이 개발에 성공한 제품이다. GIST in Korea launched a research project to develop ultra-strong laser and laser-plasma technologies that can disable enemy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drones and unmanned robots. Korea's long-term goal is to develop technologies to track and identify space objects and satellites with lasers.

tech7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3/2022

안개 낀 날에도 영상인식하는 AI 기술 개발

POSTECH 곽수하 교수 연구팀이 짙은 안개가 낀 날씨에서도 사람, 자동차, 도로, 나무 등 의미에 따라 영상을 정확하게 분할하는 영상인식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기술로는 영상인식이 어렵다고 알려진 악조건에서도 강인하게 동작하는 이 기술은 향후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를 한층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CyberLInk has launched a new FaceMe Platform that provides clients with a collection of facial recognition APIs that can be used for a number of different business use cases. Clients that adopt the APIs can deploy them on their own servers, and manage them through a centralized dashboard in a standard web browser.

tech6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25/2022

스파이스웨어, AI로 난수 생성하는 기술 개발

보안 스타트업 스파이스웨어가 인공지능의 강화학습을 통한 난수 생성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 해당 논문이 국제 학술지 어플라이드 사이언스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KAIST 정명수 교수 연구팀이 컴퓨터의 모든 프로그램 실행상태와 데이터들을 전원 없이 비휘발성으로 유지할 수 있는 라이트PC를 개발했다. The research team led by Jung Myoung-soo at KAIST has invented the Lightweight Persistence Centric System or Light PC, which can retain data regardless of power supply. Pointing out the fatal downsides of existing technologies, the research team said by using only persistent memory processors, Light PC doesn’t need any rebooting process.

tech6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19/2022

뇌파 기반 기술 엠브레인, 졸음운전 30% 감소

경기도 공공버스에 시범적용한 뇌파를 활용한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 '엠브레인'을 적용하면 졸음운전과 같은 위험 상황을 최대 3분의 1 가까이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연구원은 값싸고 지구상에 풍부한 니켈을 활용, 저비용 고효율 촉매 제조 기술을 개발, 암모니아 분해 수소 생산 공정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 It was found that you can curtail dangerous situations like drowsy driving by up to 1/3 when applying driver monitoring technology based on brain waves. Hyundai Mobis will expand the deployment of M.Brain to a total of 300 public buses by the end of year. Their plan is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emonstration and adopt deep learning to speed up the analysis process.

tech6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12/2022

수소차 시대 앞당기는 3D 프린팅 기술 개발

원자력연구원이 수소연료전지에 사용되는 금속분리판 표면에 금보다 2천 분의 1 저렴한 내부식성이 높은 크롬알루미늄 합금을 코팅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 SKT가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에 삽입된 자막, 시청 등급 안내 표시, 저작권이 걸린 음원 등을 제거하는 'AI기반 포스트 프로덕션' 기술 개발을 마치고 상용화에 나섰다. A research team at KAERI has developed a 3D printing technology that can drastically lower the price of metal separator plates used in fuel cell stacks.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alloy was coated with a chromium aluminum alloy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instead of gold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tech6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5/2022

정밀유도포탄용 열전지 독자 개발

국방과학연구소가 포탄 발사충격에 의해 스스로 작동하는 충격 활성식 소형·고출력 열전지를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 소형화되고 고출력이라 정밀유도포탄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최유송 책임연구원 등이 유도무기 열전지 용량을 기존 해외기술 대비 약 2배 이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3차원 구조 고성능 음극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For thermal batteries without a cup system, the LIMFA FeCrAl provides the highest-reported specific capacity and a flat discharge voltage curve of molten lithium. In addition to its high specific capacity, LIMFA FeCrAl is expected to aid the development of thermal batteries with enhanced performance.

tech6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29/2022

달팽이관 모방한 인공피부 센서 개발

UNIST에 따르면 고현협·김재준 교수 연구팀은 귓속 달팽이관 원리를 이용해 사람의 동작, 촉감, 소리 등을 인식해 기계에 전달하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LIG넥스원 판교R&D센터에서 '초소형 지상로봇 군집운용 통제기술 무기체계 패키지형 핵심기술 과제 착수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A consortium led by LIG Nex1 has embarked on a five-year research project to develop technologies for the control of micro-sized insect spy robots that operate in clusters like ants and bees. The tiny robots can be utilized in reconnaissance missions by collaborating with manned and unmanned equipment such as military drones and patrol robots.

tech6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22/2022

자율주행 앞당기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기술

차량과 차량, 차량과 교통 인프라가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으며 협력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가 자율주행을 위한 기반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다.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에 대한 규제 프리 적용과 대규모 실증단지 지정 등을 통해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성과 사업성 테스트를 자유롭게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According to automakers, the invention of a consumer-friendly fully-autonomous vehicle is around the corner. The question is no longer "will it happen" but "who will do it first?" Despite not having a vehicle of its own on sale, Apple landed in the middle of the top ten with 13 percent of consumer's trust.

tech6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15/2022

기계연, 신축성 LE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기계연구원 나노역학장비연구실 장봉균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이미지의 왜곡 없이 25% 늘어나는 신축성 메타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현재 성장하고 있는 Mini-LED 산업과 그래핀 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소기업 ‘YTS Micro-Tech과 MCK-Tech’를 설립해 보유 기술의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The KIMM research team has successfully developed the first stretchable meta-display technology that can be stretched up to 25% without image distortion. The newly developed flexible meta-display techn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platform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s.

tech6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7/2022

질소산화물을 유용 화합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이윤호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니켈을 촉매로 질소산화물을 일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탈질화하고, 이후 탄소-질소 결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옥심을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KIST 하정명 박사 연구팀이 음식물 쓰레기 등에서 나오는 메탄 가스 이용 에틸렌 생산 공정에 필요한 저온 에틸렌 생산 촉매를 개발했다. KIST announced that a research team led by Dr. Jeong-Myeong Ha  developed a process technology and catalyst for removing hydrogen sulfide, a toxic substance, during the process of ethylene production from methane in biogas. Methane can acquire a large added value if converted into ethylene, a basic raw material for industries, through chemical reactions.

tech6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18/2022

미학습 가려진 물체 인식 로봇 AI 기술 개발

GIST 이규빈 교수팀이 계층적 가림 모델링으로 복잡한 로봇 환경에서도 미학습 물체 가시 영역과 비가시 영역, 가림 여부를 동시에 검출하는 딥러닝 기술을 개발했다. 이규빈 교수는 “미학습 물체 인식은 공장,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 로봇을 적용하기 위한 로봇 분야의 핵심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analyzes the top 5 trends shaping robotics and automation around the globe :Robots adopted by new industries, Robots easier to use, Robots and Humans up-skilling, Robots secure production and Robots support digital automation. The industry is past the pilot phase, and we can expect to see a larger deployment of these technologies in 2022.

tech6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10/2022

내달 강남 달리는 로보택시, 구역형 자율주행

서울시가 오는 3월부터 강남구 강남대로 테헤란로 언주로 등 주요 도로가 포함된 20.4㎢ 구역에서 구역형 자율주행 방식으로 로보택시 시범 운행에 나선다. 성공 여부는 기술 고도화와 정책·제도적 개선에 달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Korea's capital city will launch a commercialized autonomous vehicle-hailing service. Self-driving cars can be hailed from any location on the circulation routes using a designated smartphone app. Autonomous vehicles offer the potential for making streets safer, but currently face regulatory and safety challenges of their own.

tech5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4/2022

재난현장서 실종자 찾는 기술 개발

전자통신연구원이 레이더 센서 기반의 인명탐지 시스템을 개발해 화재나 폭발, 붕괴 등 재난현장에서 소방관을 도와 효과적으로 인명을 탐색해 구조하게 될 전망이다. 피해자의 호흡과 심장박동 등 생체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로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의 헬멧이나 휴대기기 형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Korean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radar sensor-based life detection system that can help firefighters and rescuers find biological signals such as breathing and heartbeats at fire and disaster sites. "The goal is to rescue lives within Golden Time in a disaster environment and help safe rescue activities by firefighters," Koo Bon-tae, a senior researcher at ETRI, said.

tech5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5/2022

3차원 적외선 영상 생성 기술 개발

국방과학연구소 부설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와 LIG넥스원은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 등에 활용될 수 있는 3차원 적외선 영상 생성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적외선 탐지, 피탐지 관련 성능 예측이 필요한 무기체계 개발과 기계설계와 해석, 인공지능 영상처리, 자율주행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등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LG Electronics said that it will show off the real-life version of its futuristic self-driving vehicle next month. The self-driving home on wheels is fitted with LG home appliances retooled for in-vehicle use and provided with AI concierge services from Reah, the virtual influencer created by LG.

tech5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2022

금속간화합물 이용한 전고체전지 음극 제조기술 개발

전기연구원 하윤철·김병곤·최홍준 전고체전지 연구팀이 '안정적인 황화물계 전고체전지용 음극 제조기술'을 개발,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표지논문에 게재됐다. 에스제이신소재가 UNIST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아 전기차 주행거리를 대폭 늘릴 수 있도록 이차전지의 실리콘계열 소재 내구성을 개선하는 합성기술을 확보했다. Contrary to Li cells showing frequent initial short-circuit, the cell incorporating the Ag-Li anode exhibits a better capacity retention of 94.3% for 140 cycles, as well as stable cycling even under 12 C. Seog Young Yoon, Byung Gon Kim, and co-workers at KERI introduce the cell incorporating Ag-Li alloy anode fabricated via mass-producible roll pressing method.

tech5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2022

속도 7배 빠른 기계학습 기술 개발

KAIST 정명수 교수 연구팀이 '홀리스틱 그래프 기반 신경망 기계학습 기술'을 개발, 최신 고성능 GPU를 이용한 기계학습보다 속도는 7배 빠르고 에너지는 33분의 1밖에 소비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정명수 교수는 "기존 고성능 시스템을 대체해 초대형 추천시스템, SNS, 교통 예측 시스템, 신약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The optical pulse excitation created copper electrons with a temperature ~ 20,000 K, which is similar to that of a giant planet's core. Then, right when the copper sample was about to melt, the researchers took snapshots of the electrons using ultrafast x-ray pulses from an x-ray free electron laser(XFEL).

tech5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30/2021

리튬이온전지 충전용량 향상한 기술 개발

표준과학연구원이 건국대 김연호 교수 연구팀과 리튬이온 배터리의 초기 쿨롱 효율과 용량을 향상한 산화철 나노구조체를 개발해 이차전지 성능 향상에 기여할 전망이다. 방위사업청이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총사업비 5천700억 원 가량을 투입, 서북도서 지역을 실시간 감시·정찰하는 드론을 독자 개발로 확보할 계획이다. The Korean military approved a proposal to domestically manufacture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drones by 2031 to improve the country’s defense capabilities. With a reported budget of $479 million, the project would supply unmanned platforms to navy warships and marine corps units deployed on frontline islands.

tech5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21/2021

드론으로 항공기 점검 솔루션 개발

정비사가 직접 육안으로 점검해 왔던 항공기 동체 검사 관련 대한항공이 여러 대의 드론을 동시에 띄워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드론 4대를 동시에 투입하면 현재 육안으로 진행되는 약 10시간의 동체 검사 시간을 약 4시간으로 60% 가량 줄여 항공기 정시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Korean Air has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inspect aircraft using drone swarms with its extensive experience in manned and unmanned aerial vehicle development. Korean Air’s aircraft inspection technology is the first in the world to deploy multiple drones simultaneously, shortening maintenance time and dramatically increasing operational stability.

tech5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13/2021

CES 출전하는 KAIST의 고속 자율주행차

KAIST가 만든 자율주행 레이싱카가 내년 1월 7일 'CES 2022 자율주행차 레이싱'에 아시아 유일 팀으로 출전, 미국·유럽 대학들과 최고 속도를 겨룰 예정이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자율주행시대엔 거추장스러운 공간을 찾아내고 새로운 공간 가치를 만들어내는 게 미래 자율주행차 설계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KAIST’s self-driving racing car joins the race of autonomous cars at CES 2022, which is scheduled for Jan. 7, as the only competitor from Asia. There, KAIST will compete with MIT, 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 and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Zürich. It is expected to show a speed of more than 300 km/h at the upcoming race.

tech5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4/2021

세계 최초 소켓 방식의 칩 테스트 기술 개발

큐알티가 반도체 수명시험 기술을 기존의 표면실장기술 방식 대신 소켓 솔루션 방식으로 세계 최초로 개발해 개발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큐알티의 시스템 반도체 소켓 솔루션에는 RF 출력 값, 소모 전력, 온도 등 중요 수치를 별도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개별 DUT 관리 시스템을 적용했다. Offering inverse geometry with the terminations on the long sides, these chip resistors have a particularly high thermal contact with the PCB in addition to low internal thermal impedance, which provides higher power ratings than conventional resistors on the same footprint without relying on excessive PCB copper heatsink areas.

tech5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3/2021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퀀텀 자이로스코프' 개발

GIST 함병승 교수 연구팀이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자이로스코프를 만들어 위치확인 및 항법 장치 등에 보다 정밀하고 빠른 정보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어 주목된다. 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가 방사선육종 기술을 활용해 생산성이 뛰어난 미세조류 변이체를 개발, 민간에 이전하는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했다. Researchers from a state nuclear technology institute have developed a variome of microalgae that is more effective in producing biofuel than its brother species. When green algae are fermented, starch turns into bioethanol, a zero-carbon principle fuel used as a petrol substitute.

tech5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16/2021

실리콘 대체할 차세대 반도체 소재 핵심 개발

국내 연구진이 베이징대 중국 연구진과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의 대면적 단결정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원리를 규명, 차세대 반도체 소재의 상용화를 앞당길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팅 청 연구원은 “‘이중결합 유도 에피텍셜 성장법’을 토대로 적절한 기판을 선택하면, 이론적으로 모든 2차원 재료를 대면적 단결정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Korea launched a task force to speed up the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using hydrogen and ammonia for power generation to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 for electricity generation. Ammonia fuel generation is considered an ideal eco-friendly model because it does not emit any carbon dioxide.

tech4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9/2021

환경오염 물질을 암모니아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지스트 주종훈 교수 연구팀이 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 연구를 통해 일산화질소를 상압조건에서 수소의 저장체인 암모니아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주종훈 교수는 “미세먼지 원인물질 저감과 수소 저장체인 암모니아를 높은 효율로 생산하고 친환경이며 경제적인 암모니아 생산기술을 개발, 탄소중립 실현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This study demonstrated an alternative approach for NO-based electrochemical NH3 production as well as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NO, which is harmful to the environment. Researchers in Korea succeeded in developing a core material for the next-generation neuromorphic semiconductor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tech4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2021

​스마트시티 건설자동화 기술, 시범 적용

국토교통부가 세종시 5-1생활권 지역을 대상으로 6개월간 건설자동화 시범사업을 시행, 스마트건설기술의 시연을 관람하고 체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모든 시공 과정을 3D BIM, 건설장비의 원격 조종, 드론을 이용한 측량 등 생산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South Korea has started the six-month demonstration of automated construction technologies including 5G-based machine guidance and machine control techniques at the central city of Sejong. A smart city is a city platform with its components connected via wireless networks using 4G, 5G, WiFi, and Io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tech4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26/2021

90도 회전 가능한 車 바퀴 기술 개발

현대모비스가 자동차의 조향·제동·현가·구동 시스템을 바퀴 하나에 접목한 신기술 'e-코너 모듈' 선행개발에 성공, 자동차 90도 회전 주차와 제자리 회전까지 가능해졌다. e-코너 모듈은 설계에 따라 카페, 병원 등 맞춤형 서비스를 이동 중 제공하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에 필요 기술로 꼽힌다. Hyundai Mobis has succeeded in developing a technology that can rotate the wheels of a car up to 90 degrees. The Indy Autonomous Challenge competition is just like any other car racing competition, minus the need for anyone behind the wheel. UH is one of 10 international and U.S.-based teams competing, which include the MIT, KAIST and Auburn University.

tech4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19/2021

2차원 소재 대면적 합성기술 개발

호서대 최운섭 교수팀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 최신 기술인 2차원 소재를 대면적으로 합성해 원자층을 형성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특허청에 따르면 거주자의 삶의 가치를 높이는 스마트홈 관련 국내 출원은 지난 2009년 56건에서 지난해 140건으로 최근 10여 년 사이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A bottom-up water-based solution-process method was developed for atomic layered MoS2 with a one-step annealing process and no sulfurization. In this study, a deionized (DI) water-based solution process was developed for MoS2 thin film by bottom–up thermolysis method for the first time.

tech4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12/2021

소금으로 나노·마이크로 캡슐 제작 기술개발

KAIST 연구팀이 소금의 결정화 프로세스를 표면장력 효과로 제어해 나노 및 마이크로 캡슐을 제작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김형수 교수는 “특정 소금들과 같이 기본 결정 구조가 얇고 잘 휘는 성질의 결정을 발견해서 활용할 수 있으면 이멀젼(유화액)이나 액적(물방울) 내부에 원하는 물질을 자발적이고 효과적으로 가둘 수 있다”고 설명했다. Merck Group said that it plans to invest around $693 million in South Korea through 2025 in the electronics sector, including semiconductor solutions. Here, we show that plate-like salt crystallites grow and cover the emulsion interface, which is driven by Laplace pressure. Eventually, it creates a spherical capsule with self-assembled nanostructures.

tech4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28/2021

종이처럼 접을 수 있는 QLED 개발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이 나비, 비행기, 피라미드 등 복잡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3차원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개발에 성공했다. 현택환 단장은 "전자 종이 및 신문, 태블릿 등을 비롯한 사용자 맞춤형 소형 디스플레이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했다. The new academy and manufacturing R&D support centre is part of a deal the iPhone maker made with KFTC to avoid being fined for unfairly forcing local telcos to cover advertisement fees and warranty expenses. Big Korean companies are being preyed upon by patent trolls, according to a Korean politician. They charge others to use it, and will often take companies to court claiming infringement and seeking compensation and damages.

tech4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14/2021

플라스틱 먹는 미생물 신속히 찾는 기술 개발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특정 미생물 발견에 수십년까지 걸렸으나 자연계에서 1주일 안에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을 화학연구원이 개발, 이런 미생물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할 계획이다. 생분해 플라스틱의 미래에 주목하고 기업들이 속속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에 뛰어들면서 해외 수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The scientists working to find and develop plastic-eating organisms must contend with a basic reality: evolution. The best way to beat the plastic waste crisis, experts say, is by switching to reusable alternatives, such as Notpla's seaweed-derived materials and using biodegradable materials where possible.

tech4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9/7/2021

e파워트레인을 융합한 전기차용 모듈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IAA 모빌리티 2021'를 통해 현대모비스가 자동차 핵심부품에 e파워트레인을 융합한 스케이트보드형 전기차용 모듈을 선보이며 시장을 개척한다. 마슈카 부사장은 “현대모비스는 창의력과 핵심 경쟁력을 결합한 제품 포트폴리오로 전동화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yundai Mobis will integrate its e-powertrain technology in its key vehicle components to better differentiate and target the rising electric vehicle market. A skateboard chassis is a type of configuration for an automotive chassis, an automotive platform that is used for EVs to reduce cost and complexity by integrating electronics, motors, batteries and driving components.

tech4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31/2021

메타버스 개발업체 어반베이스, 130억 투자 유치

검증된 메타버스 기술력과 API/SDK를 통한 확장성을 높이 평가받는 어반베이스가 한화호텔앤드리조트로부터 13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받았다.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올 1분기 세계 VR 헤드셋 시장에서 3위를 차지한 가상현실 스타트업 피코인터랙티브를 약 9015억원에 인수한다. Urbanbase, a Seoul-based company that develops a 3D spatial data platform for interior planning and design, announced it has raised $11.1 million in a Series B+ round as it scales up. The latest funding will be used for enhancing its B2B SaaS, investing in R&D for advanced VR, AR and 3D tools, which are considered core technologies of the metaverse.

tech4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24/2021

태양열로 바닷물 담수화 기술 개발

UNIST 장지현 교수팀이 태양열로 바닷물을 증류해 1시간에 1.6kg 이상의 먹는 물로 바꿔내는 해수 담수화 장치를 개발, 광 흡수체에 염이 쌓이는 것을 막아 수명도 3배 이상 늘렸다. GIST 정의헌 교수팀은 레이저 스페클을 분석해 대뇌 표면에 뇌경색이 발생했을 때 뇌혈류의 변화와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Korea’s manufacturing companies are showing interest in entering the budding robot market that can create more value with related tech solutions. Korea’s telecom operators are keen to expand their robot-based businesses in an effort to utilize their massive infrastructure and subscriber bases.

tech3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18/2021

AI 기반 주변차량 움직임 예측 기술 개발

현대모비스가 인공지능을 활용해 주변 차량의 운행 예상 경로를 파악하는 기술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및 이의 정보 표시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해당 기술은 완전 자율주행으로 넘어가기 전 과도기 기술로 향후 커넥티드카 차량간 통신이 이뤄질 경우 다른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어 사고 위험이 없다. After 3 years of R&D, Hyundai Mobis finally succeeded in developing M.Brain, a new healthcare technology based on brainwave measurement. The new technology, 'M. Brain' identifies the driver's state through brainwaves and reduces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or negligence.

tech3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8/4/2021

​용량 8배, 속도 1.8배 GPU 메모리 기술 개발

KAIST 정명수 교수팀이 3D XPoint 메모리와 DRAM 메모리를 통합한 메모리 시스템에서 광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옴-지피유'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올해 10월에 열릴 컴퓨터 구조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마이크로 2021'에서 발표될 예정이다.KAIST announced that its research team has developed an ohm-GPU technology that boosts the performance of a GPU memory system by combining an optical network and a 3D XPoint-DRAM memory hybrid system. The team reduced the inter-memory data transfer standby time by using different optical wavelengths for arithmetic and data transfer memory access and minimizing memory controller intervention.

tech3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22/2021

뇌파 응용 차량 기술, 세계 최초 개발

현대모비스가 자동차 분야 최초로 뇌파를 측정해 운전자의 컨디션을 확인할 수 있는 자율주행 신기술 '엠브레인' 개발에 성공했다. 세계 최초로 TBM(Tunnel Boring Machine) 커터헤드 설계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핵심기술인 TBM 장비 운전·제어 시스템을 국산화 하는데 성공했다고 국토교통부가 밝혔다. Hyundai Mobis finally succeeded in developing M.Brain, a new healthcare technology based on brainwave measurement to the automotive industry for the first time. M.Brain measures the driver's condition on a real-time basis by detecting the brainwaves around the ears through earpiece sensors that are worn.

tech3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7/12/2021

해상풍력 일괄설치기술 개발

한국전력이 현재 90일 걸리는 해상풍력 발전기 설치를 10일 만에 바다에 설치할 수 있는 해상풍력 일괄설치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설치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소음·진동과 부유사 하천 또는 해안에서 물의 흐름에 의해 저면으로부터 부상해 수중에서 이동되는 토사 발생이 없어 친환경 효과가 크다는 분석이다. Korea Electric Power Corp. has developed a technique to assemble the components at a port and transport the assembled structure to the installation sidt and place the wind power generator on the seabed and to install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just in 10 days. According to KEPCO's own estimation, the new approach will save KEPCO about 3.7 billion won per 5MV turbine.

tech3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29/2021

방사능오염 토양에서 세슘 97% 제거 기술개발

원자력연구원 김일국 박사팀이 세슘과 강하게 결합된 점토를 자성을 이용해 선택적으로 분리, 점토 분리 후 남은 오염 토양에서 잔여세슘을 효과적으로 떼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일국 박사는 "향후 원자력시설 해체 시 발생가능한 대량의 방사성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데 직접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technique to magnetically separate cesium-137, a radioactive isotope, from soil contaminated with radiation. The affordable method can be used for the decontamination of soil at disused nuclear power plants. Researchers said that the cesium-removing technique can be upgraded to remove other materials such as heavy metal, oil, and other pollutants from the soil.

tech3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22/2021

​정전기 기반 공기 중 병원체 제거 기술 개발

정전기와 나노와이어를 활용해 별도의 전력공급 없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ㆍ박테리아 등 병원체를 단기간에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성균관대 김상우 교수는 “정전기 기반의 자가발전형 병원체 제거 기술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병원체를 물리적으로 단순히 포집한다는 기존의 필터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한 기술”이라고 밝혔다. Here we report a rapid disinfection method toward air-transmitted bacteria and viruses using the nanowire-enhanced localized electric field to damage the outer structures of microbes. This air disinfection system is driven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hat converts mechanical vibration to electricity effectively and achieves self-powered.

tech3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15/2021

100배 빠른 차세대 메모리 신소재 개발

국내 연구진이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기존보다 100배 빠른 계산 속도와 친환경 차세대 저항변화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 밝혔다. 연구팀은 "고속 처리능력을 필요로 하는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등의 다양한 전자기기들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Resistive switching memory that uses halide perovskites (HP) has been considered as next-generation storage devices due to low operation voltage and high on/off ratio. The leaders of South Korea and France shared hopes to strengthen bilateral cooperation in cutting-edge technology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s and electric vehicles.

tech3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7/2021

친환경·저비용 배터리 음극재 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은 한양대 임원빈 교수팀이 매우 적은 양의 수증기로  음극재 소재를 낮은 온도에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리튬 배터리 음극재에 우수한 표면제어와 전기 화학적 성능 향상 효과도 입증돼 향후 에너지 저장재료에 친환경적 합성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anyang Team found a facile solid-state reaction conducted in water vapor at low temperature along with calcium doping for modifying lithium vanadate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They also us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calculation to demonstrate that the enhancement of doped lithium vanadate is attributed to...

tech3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6/1/2021

반도체 플라즈마 실시간 측정기술 세계 최초 개발

표준과학연구원이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양을 실시간으로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기에 센서가 내장된 '지능형 식각공정 장비' 개발 예정으로 외국산에 독점화된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기술혁신을 이룰 것이라고 연구진은 전망했다. We propose a microwave flat cutoff probe and its circuit modeling, in which the plasma and sheath are considered as coplanar capacitances. The circuit model was verified through both EM simulation and experiments, and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in a good agreement.

tech3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26/2021

ADD, 드론 잡는 고출력 레이저 기술 개발

국방과학연구소가 국내 최초로 ‘파장제어 빔 결합기술’을 통해 다섯 개의 1 kW급 광섬유 레이저를 하나의 5 kW급 고품질 레이저로 구현할 수 있는 광섬유 레이저 발생기술을 개발했다. ADD는 레이저 대공무기체계에 적용 가능한 소형 경량화,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출력 증대 기술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ADD announced that it has developed a laser-power enhancing technology for use in future weapon systems, with the most immediate application being a laser-based air-defence system. If developed as a weapon system, it can be used for air defence against threats such as unmanned air vehicles (UAVs) and/or missiles, said the ADD.

tech2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18/2021

빛 활용 이산화탄소를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빛에너지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비천연, 감마아미노산으로 전환, 파킨슨병 같은 중추신경계 질병의 치료제로 개발 가능한 기술이 개발됐다. GIST 홍석원 교수는 “합성된 비천연 감마아미노산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물질로, 추가적인 처리를 통해 중추신경계 장애 치료 물질의 재료로 사용될 가능성이... The photoredox-catalyzed α-aminoalkylcarboxylation of aryl allenes with CO2 and N,N-dimethylaniline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26 examples, up to 96% yield). In the case of electron-deficient allenes, good regioselectivity was observed, exclusively generating kinetic products over thermodynamic products.

tech2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11/2021

손가락만한 나노 광학 기반의 라이다 기술 개발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와 함께 포항공대가 자율주행 자동차, 지능형 로봇 등에 사용되는 초소형 나노 광학 기반의 라이다 기술을 개발했다. 노준석 교수는 "현재 연구팀은 메타표면 장치 기반의 초소형 복합 라이다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POSTECH announced that it and the French National Centre for Scientific Research have jointly developed the new technology on micro lidar. LIDAR, the laser sensor that sends millions of laser points out per second and measures how long they take to bounce back, is seen as a key ingredient to autonomous driving.

tech2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5/4/2021

커피링 얼룩 없는 균일 코팅 기술 개발

KAIST 김형수 교수 연구팀이 커피링 얼룩 자국이 남지 않는 균일 코팅 기술을 개발, 이는 양자점을 균일하게 코팅해 유연 디스플레이 소자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10∼20년 뒤 산업의 판도를 바꿀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 신산업과 신시장 창출을 지원하는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An international research team ha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the mystery behind the formation of 'coffee rings' by examining the contact angle of droplets onto a surface, and how they dry. Professor Garnier said this discovery could open up doors in the blood diagnostics arena, especially for the discovery of treatments for anemia and other blood diseases.

tech2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27/2021

드론 측량 데이터처리 공정자동화 기술 첫 개발

국내 최초로 드론 항공사진 측량 시 데이터 후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지상기준점 자동 탐지 및 보정 기술을 엔젤스윙이 개발했다. 엔젤스윙은 "전체 처리공정 시간을 30% 가량 낮춤으로써, 궁극적으로 사진 측량 프로세스의 확장성과 건설현장의 생산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erial mapping with unmanned aircraft is helping teams collect valuable aerial insights quickly, efficiently, safely, and at an affordable price point - while helping to drive revenues and outcomes. A 2D map or 3D model created through this surveying technique is instantly recognisable and relatable, helping teams to access, share and understand digital twins quickly and easily.

tech2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20/2021

철도연, 액화수소열차 기술 개발

철도기술연구원이 한번 충전하면 시속 150km로 1000km 이상 운행 가능한 액화수소열차 개발에 착수, 2022년 하반기 트램 장착 시험이 목표다. 액화수소는 수소를 영하 253도 이하의 초저온 상태로 액화시킨 것으로 기체상태의 고압 수소에 비해 압력이 훨씬 낮아서 안정적인 상태로 수소를 보관 운송할 수 있다. South Korea's state-run railway research body has embarked on the development of locomotives based on liquefied hydrogen ahead of other countries such as France, Germany, Japan and China which have jumped into the race to develop hydrogen engines that would replace diesel trains and generate no pollutants.

tech2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13/2021

플라즈마 기반 기체-액체 경계면 안정화 기술 개발

KAIST 최원호 교수 연구팀이 기체를 이온화시킨 플라즈마가 기체와 액체 사이 경계면의 유체역학적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하고 실험과 이론으로 밝혀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2016년 링크드인에 이어 인공지능 및 음성인식 기술 회사인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스를 약 18조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Scientists created a plasma jet by applying high voltage to a nozzle as gas flows through it, which causes the gas to be weakly ionized and acquire freely-moving charged particles. Professor Choe at KAIST said, “We next plan to expand this finding through more case studies that involve diverse plasma and liquid characteristics.”

tech2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4/6/2021

​스마트폰 접은 LG, 모바일 기술개발 지속

휴대폰 생산과 판매 사업을 26년 만에 종료 에정인 LG전자가 핵심 모바일 기술 등 연구개발은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전기차·자율주행차를 발판으로 자율성 기술을 토대로 한 다양한 신산업에 진출할 토대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autonomy itself is a core technology, in my view. If you sort of step back, the car, in a lot of ways, is a robot. An autonomous car is a robot. And so there’s lots of things you can do with autonomy. And we’ll see what Apple does,” Apple CEO Tim Cook said in an interview. When asked if Apple was working on a car itself or the technology within a car, Cook declined to comment.

tech2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24/2021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 앞당긴다

오는 2027년까지 총 1조1000억원을 투입해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이끌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이 공식 출범한다. 방위사업청이 미래 첨단무기체계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21∼35 핵심기술기획서'를 발간했다. South Korea said that it plans to spend $974 million by 2027 to speed up the development of Level 4 self-driving vehicles and boost related technologies. Under the plan, South Korea will support 84 projects to develop vehicle converge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road traffic technologies, as well as self-driving services...

tech2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16/2021

바닷물에서 고순도 수소 생산기술 개발, 재료연구원

재료연구원이 최승목·이지훈 박사 연구팀이 바닷물을 활용해 고순도의 그린수소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음이온 교환막 해수 수전해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최승목 책임연구원은 "해상풍력과 연계하여 그린수소를 생산하게 된다면, 해상에서 수소를 수소선박에 바로 충전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Saltwater could be used to produce green hydrogen using a system that combines 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with forward osmosis. The approach could allow up-scaling of hydrogen fuel production using the planet’s predominantly salty natural water sources without pre-treatment or purification.

tech2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3/5/2021

​美 ITC "SK, LG 영업비밀 없이 독자 기술 개발 어려워"

미국 국제무역위원회가 최종 판결문을 통해 SK이노베이션에 대한 패소 예비 결정을 확정, 10년간 수입금지·영업비밀 침해 중지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ITC는 SK이노베이션이 증거가 되는 문서를 삭제한 행위 등에 대해 ‘노골적 악의(flagrant bad faith)’라고 지적했다. U.S. ITC ruling in the SK Innovation - LG Chem's LG Energy Solution high profile court clash will be reviewed by President Joe Biden's administration. The best-case scenario would be a settlement between LG Chem and SK Innovation. It will be a very interesting final decision when it is decided.

tech1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23/2021

​양자암호 보다 뛰어난 절대보안 암호통신기술 개발

GIST는 함병승 교수가 '고전암호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기초실험에 성공해 양자암호보다 진일보한 차세대 암호통신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키분배 과정이 양자메모리 원리와 동일하게 확정적이며 암호키 생성·교환 속도가 원리적으로 기존 통신데이터 전송속도와 비슷한 수준이기에 원타임 패드(OTP)를 실현할 절대보안 통신방법으로 평가된다. Theoretically, QKD offers greater security in communications leveraging physics laws. However, imperfections and vulnerabilities of real devices could result in deviations from the models used to carry out security analyses. The MDI-QKD protocol can help to tackle this challenge by closing all loopholes on detection at once.

tech1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15/2021

뇌기능 원격·정밀 제어하는 나노기술 개발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의학 연구단이 자기장을 이용해 뇌의 운동신경을 무선·원격으로 정밀 제어하는 나노 자기유전학 기술을 개발했다. 천진우 단장은 “나노 자기유전학은 원하는 세포를 유전공학으로 선택해 무선·원격으로 뇌 활성을 제어하는 연구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Neuralink which deals with brain-machine interface demonstrated pigs which had coin-sized wireless implants in their brains. The implants have nano flexible threads which are 10 times smaller in comparison to human hair. The electrodes are implanted into the human brain which converts human thoughts to actions.

tech1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2/3/2021

애플카, 기아에서 생산한다

애플이 자율주행차 애플카 출시를 위해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기아차가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생산할 거란 전망이다. E-GMP는 800V 충전 시스템을 갖춰 초고속 급속충전기 이용시 18분 이내 80% 충전이 가능하며 5분 충전으로 100km 주행이 가능하다. Apple will take an equity stake in Kia, which will build a manufacturing facility for the autonomous electric car in Georgia. The facility will begin production in 2024 at a rate of 100,000 cars annually and have the capacity to ramp up to a 400,000 car-per-year rate.

tech1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9/2021

우주물체 추적·감시 레이저 기술 개발 착수

군이 지상에서 발사한 레이저의 왕복시간을 계산해 인공위성과 우주물체의 궤도를 정밀하게 추적·식별하는 기술 개발에 450억원을 투입한다. 점 형태의 레이저를 초정밀 특수렌즈 모듈인 BSOM 시스템을 통해 적층기술을 현실화한 레이저쎌은 벤처캐피탈 10곳을 포함해 총 20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South Korea will invest $41 million in the next five years to develop technologies to track and monitor space objects, a state-run research center said. The new laser-based technologies are aimed at better monitoring objects that fly over the Korean Peninsula amid an increase in the use of satellites for military purposes.

tech1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1/2021

​사용후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까지 130억원을 들여 전기차 등에서 일정 기간 사용한 배터리의 재활용 기술과 응용 제품 개발에 나선다.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기관들은 오는 2030년이 되면 전 세계적으로 연간 150GWh 이상의 폐배터리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ill invest $11.7 million to develop technology for recycling batteries used for electric vehicles and other appliances by 2024. Since these batteries are us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however, proper assessment should be in place to ensure that there are no gaps in their capacity and safety when recycled.

tech1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6/2021

​AI 원천기술 확보에 나선 LG, AI 연구원 출범 

AI 원천기술 확보 및 AI 난제 해결 역할을 수행하는 전담 조직으로 AI연구원을 출범시킨 LG가 인재 확보 및 AI 연구개발 등에 2000여억원을 투자한다. LG Group has established a research organization specializing in AI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across the conglomerate’s affiliates. The unit will focus on developing core AI technology and finding ways to use that knowledge to solve business problems among LG affiliates. High-tech glasses, wristbands and masks are just some of the wearable tech that will be showcased at CES 2021.

tech1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24/2020

​새 해킹 방지 네트워크 변이 기술 개발

전자통신연구원은 해킹을 당하기 전 불확실성과 복잡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주소를 계속 바꿔 공격 시간을 놓치게 하는 '네트워크 변이 기술'을 개발했다. 내년 국방부 주관 '국방 U-실험사업'에 선정돼 공군 비행단을 대상으로 군 네트워크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To understand where the SolarWinds attackers are going next, and how to defend against them, look to the clouds. For security professionals, nothing here is new or surprising: total access to a network means you can do anything you want with it. 

tech1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14/2020

​어떤 변형에도 자가발전 가능한 정전기 소재 개발

화학연구원 이수연, 최영민 박사 연구팀이 늘리고 굽히는 등 어떤 형태로 변형해도 스스로 전기를 생산해낼 수 있는 새로운 정전기 소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스마트 워치, 헬스케어 밴드 등 웨어러블 기기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의 자가발전 센서 등에 핵심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High-performance stretch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based on hierarchical auxetic films consisting of polyurethane foam and Ag electrode layers were fabricated. The high output power generation from dual-mode STENG can be used to operate light-emitting diodes and charg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ech10.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11/2020

레벨3 자율주행차 2022년 출시 예정인 현대차

현대차가 자율주행기술을 2022년부터 조건부 레벨3으로 끌어올리고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HTWO`라는 브랜드로 만들어 내년에 출시할 전망이다. 애플은 자율주행칩 개발을 위해 대만 업체 TSMC와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2024년 애플카가 공개될 전망이 나온다. Apple Car has been in a dormant phase for a while, but it looks like the Cupertino-based tech giant has accelerated the work on the project lately. Apple is looking into plans for a production facility in the U.S. that would be entirely dedicated to manufacturing the Apple Car should the project advance.

tech9.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2/2/2020

고탄성 압전 세라믹 신소재 개발, 촉각 증강기술 활용

KAIST 연구팀이 촉감이나 촉각 증강기술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3D 나노 구조체를 활용해 탄성 변형률이 3배로 향상된 압전 세라믹 소재를 개발했다. 시스템생물학 연구를 통해 노화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정상적인 젊은 세포로 되돌리는 역 노화의 초기 원천기술도 개발했다. Simulations that model molecular interactions have identified an enzyme that could be targeted to reverse a natural aging process called cellular senescence. The findings were validated with laboratory experiments on skin cells and skin equivalent tissues, and published in th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

tech8.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24/2020

세계 최초로 지뢰폭발물 찾아 제거하는 로봇 개발 추진

전·평시 병력을 대신해 지뢰와 급조폭발물 등을 탐지 및 제거하는 미래형 국방로봇이 2023년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다. 한화디펜스 관계자는 “원격으로 운용되는 궤도형 로봇으로 임무에 따라 지뢰탐지기, X-레이 투시기, 물포총·산탄총, 케이블 절단기 등 다양한 임무 장비를 조작팔에 자동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Hanwha Defense plans to develop a robot capable of patrolling the mine-strewn DMZ on the border with North Korea and other dangerous areas, detecting and eliminating explosives. The KAIST research team succeeded in transforming CO2 into a carbonate by using a hollow fiber module based on an ultrapermeable membrane.

tech7.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17/2020

양자채널 자동 절체 복구 기술 개발

끊김 없이 양자암호 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양자채널 자동 절체 복구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KT가 밝혔다. KT측은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동시에 끊김 없이 서비스가 이뤄져야 하는 국방 또는 금융 분야의 양자암호 통신 인프라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KT in South Korea has developed a new technology that enables a quantum cryptographic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According to the study, the three prime areas of quantum applicability are sensing,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tech6.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11/2020

세계 첫 40기가급 네트워킹 기술 개발

전자통신연구원이 통신망에 트래픽이 몰려도 지연시간이 무한정 늘어나지 않게 만들어주는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의 기술은 스마트 공장 원격제어, 원격의료, 원격 드론제어, 원격 가상현실, 홀로그램 등 미래 실감 통신 분야 등에서 많은 활용이 이뤄질 전망이다. ETRI said that it has successfully transmitted data at the capacity of 40 gigabits per second back and forth between a node in Seoul and the central city of Daejeon some 145km away. For commercialization, ETRI said technology has been transferred to two domestic companies, Coweaver and Woorinet.

tech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1/04/2020

5분 충전에 최대 609km 주행기술의 수소차

수소차 분야 세계적 기술력으로 현대차그룹은 버스, 화물, 선박, 철도 등 교통·운송 분야와 발전 분야에 ‘수소의 대중화’를 이끈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22년을 미래차 대중화의 원년으로 잡고 2025년까지 미래차 중심 사회·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Businesses in the UK’s South West region are being encouraged to collaborate with Korean innovators in the field of hydrogen mobility in a bid to accelerate the joint development of this important technology. South Korea is on course to become a world leader in hydrogen mobility, with a clear strategy to achieve 6.2 million hydrogen-powered vehicles on its roads by 2040.

tech4.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29/2020

임플란트 감염 막는 나노 코팅기술 개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염증을 유발하는 면역단백질 등의 부착을 막는 내구성이 강한 나노유막 코팅 기술이 개발됐다. 실제 골절 토끼모델의 임플란트 삽입 부위를 살펴본 결과 나노유막코팅이 적용된 임플란트에서는 감염이나 염증이 일어나지 않았다. LOIS(lubricated orthopedic implant surface) provides a novel strategy for antibacterial infection and an immune-evasive coating for orthopedic implants. Bacterial infection and infection-induced immune response have been a life-threatening risk for patients having orthopedic implant surgeries.

tech3.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20/2020

6분 만에 전기차 배터리 90% 충전 기술 개발

전기차를 6분 만에 90%까지 충전하고 18초 이내에 54%를 방전하는 성능을 보이는 기술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2000년 독일 전체 소비전력의 6%에 불과하던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2018년 기준 33%를 달성, 프라운호퍼의 기업과의 계약 연구가 핵심 동력이란 평가다. New electric battery technology developed by Korean researchers will enable EVs to travel up to 1,000km on a single charge. The team claimed that the new lithium air battery is capable of storing 10 times more energy than lithium ion batteries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EVs.

tech2.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10/08/2020

초정밀·고성능 센서 개발 김정원 교수, 10월의 과학기술인

KAIST 김정원 교수가 초고속·고분해능·다기능성 센서기술을 개발해 기초정밀 공학의 지평을 넓힌 공로로 10월의 과학기술인상을 받았다.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블랙홀의 비밀에 접근한 영국 로저 펜로즈, 독일 라인하드 겐젤, 미국 안드레아 게즈 등 3명이 공동 선정됐다. Sir Roger Penrose, Andrea Ghez and Reinhard Genzel have won the 2020 Nobel prize in physics for their work on black hole formation and the discovery of a supermassive black hole at the centre of our galaxy. “This year’s laureates have uncovered secrets in the darkest corner of our universe. As we probe ever closer to the horizons of the black holes..." Ulf Danielsson said.

tech1.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09/30/2020

​뇌와 컴퓨터 연결하는 기술, 게임체인저 되나

뉴럴링크가 컴퓨터 칩을 뇌에 이식하고 두 달간 생활한 돼지를 공개, 뇌에 칩을 심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머지않아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워싱턴대에서 에이미 오스번 교수는 “칩 주변의 조직 손상, 측정의 질, 뇌신호를 해석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발전 등에서 해결해야 할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As wearable technology becomes commonplace in our daily lives, there’s an even more intimate connection on the horizon with the rise of the brain-computer interface (BCI). Many people are looking to technology like wearables and BCIs as a beacon of hope in these uncertain times.

biz55.JPG
  • LA's official Twitter page
  • Subscriber's suggestion

09/21/2020

​코로나19 백신 불확실성, 기업 본사도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는 지적이 나오며 세계경제의 회복세도 매우 완만한 수준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버지니아 알링턴 카운티에 위치한 아마존 제2본사가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인력을 채용해 나갈 방침이다. Corporation after corporation has announced that they won’t be reopening their offices until mid-2021, at least.  Some commentators are even predicting the death of the office and the end of cities. Location today is a central component of corporate strategy.

CNN
한국경제신문
The Motley Fool
bottom of page